미국 대선이 일주일도 남지 않았다. 그동안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국내 정치·산업·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많았던 만큼, 이번에도 누가 대선에 승리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한때 두 자릿수까지 벌어진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의 전국 지지율 격차는 최근 박빙 양상으로 급변했다.
'대선 개입' 논란을 빚는 연방수사국(FBI)의 클린턴 '이메일 스캔들' 재수사 변수가 강타했기 때문이다.
미국 수장이 바뀌는 이번 선거는 오는 8일(현지시간) 진행되며 양측은 막판 표심 잡기에 집중하고 있다.
미국 대선이 일주일도 남지 않았다. 그동안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국내 정치·산업·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많았던 만큼, 이번에도 누가 대선에 승리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사진=힐러리 클린턴(좌) 및 도널드 트럼프(우) 각 페이스북 페이지
◇ 한국 기업 미 대선 결과 ‘촉각’...누가 되든 보호무역주의 심화
한국기업들도 미국 대선의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 대통령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한국 정치와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크기 때문이다.
힐러리와 트럼프의 경제 정책은 뚜렷하게 다르지만 누가 다음 미국 대통령이 되든 '보호무역주의'는 심화될 전망이다.
이에 중국은 물론 한국 역시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역 흑자를 내고 있는 중국에 무역 보복을 가할 가능성이 높다. WSJ 보도에 따르면 정치적 스펙트럼과 상관없이 중국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단호해지고 있다.
중간재, 자본재, 부자재를 수출하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미국이 중국에게 무역보복을 가하면 간접적으로 무역보복을 당하게 될 수 있다.
힐러리가 당선되든 트럼프가 되든 무역과 투자에서 현재보다 더 강경한 자세를 취할 가능성이 있다.
먼저 보호무역주의를 강하게 표방하는 트럼프는 “한미FTA를 주도한 한국이 미국을 비웃고 있다”, “한국과의 무역협정 때문에 1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기는커녕 오히려 10만개의 일자리를 잃었다” 등의 연설을 펼치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트럼프는 한미FTA를 지렛대 삼아 당시 국무장관이었던 힐러리를 비판하기도 했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겠다”는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면 자국민보호주의에 힘입어 한미FTA를 원점에서 재정립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 기업 입맛에 맞게 재정립 되면 대미 수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힐러리의 경우 전반적으로 한미 동맹을 유지하자는 입장이기 때문에 업계에선 트럼프 보단 덜 부정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하지만 힐러리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보다 무역에서 더 강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힐러리는 지난 7월 후보 수락 연설에서 불공정한 무역협정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FTA를 포함해 미국이 체결한 무역협정들이 미국 근로자 권리와 노동, 환경 등에 부합되는지 점검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제조업과 수출 중심으로 성장한 한국경제에 빨간불이 켜진 셈이다.
특히 대미 수출 산업의 주요 비중인 반도체·가전업체들의 타격은 불가피 하다. 미국에 반도체, 가전을 수출하는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등은 대선 결과에 따른 미국 정책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조업 수출 중심의 업계엔 악재는 분명하지만, 또 정책이라는 게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것이기 때문에 지켜봐야 할 문제인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기업들도 미국 대선의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 대통령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한국 정치와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크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힐러리 트럼프 상반된 금융정책...환율 리스크 등 주목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수출 대표 기업들은 환율 움직임도 예의주시 중이다.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힐러리와 트럼프는 다른 금융 정책을 펼치고 있다. 힐러리는 오바마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를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금리 인상에 신중한 연방준비제도이사회를 지지한다.
반면 트럼프는 그간 연준에 대한 반감을 많이 드러냈다. 트럼프가 당선되면 연준 의원들을 공격적인 금리인상과 강력한 긴축을 추진하는 쪽으로 임명할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당선자에 따라 미국의 금융 정책이 달라지므로 전자업계는 어떤 영향이 미칠지 조심스럽게 지켜보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이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로 판매시장과 투자 지역을 다양화 하면서 해당 리스크를 줄여왔기 때문에 기업 가치와 수익성에 큰 타격을 주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것은 품질·기술력 향상에 힘써 정책적 방향이나 환율 등에 영향을 덜 받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신진주 기자]
[미디어펜=신진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