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관훈 기자] 6·19 부동산대책 이후에도 되는 곳에만 수요가 집중하는 주택시장 차별화 현상이 심화되는 모습이다.
올들어 뚜렷해진 '수도권 강세, 지방 약세'라는 집값 흐름이 완화되기는 커녕 갈수록 간극어 더 벌어지고 있고, 서울 등 수요가 많은 수도권은 집값 오름세와 함께 규제가 더 강화되기 전에 청약을 받으려는 소비자들이 몰리며 청약경쟁도 치열한 반면, 상대적으로 수요가 많지 않은 지방의 비인기 단지는 매수심리가 더 위축되며 미달 단지도 속출하고 있다.
1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아파트값은 0.45% 올랐다. 수도권이 1.1% 올랐고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인 서울은 무려 2.23%나 올랐다.
반면, 지방은 0.17% 하락했다. 2.76% 떨어진 경북을 비롯해 대구(-2.15%)와 충남(-2.09%), 충북(-1.34%) 등 제주와 강원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약세를 보였다.
주택 매매거래량 움직임도 집값 흐름과 비슷하다. 국토교통부 자료를 보면 상반기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건수는 17만8900건으로 최근 5년 평균치 보다 4.5% 증가했고, 특히 서울은 13.2%나 늘었다. 하지만 지방(18만800건)은 11.1% 오히려 감소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미분양 주택도 지난해 12월 1만6600가구였던 수도권은 지난 5월 1만5200가구로 1400가구 줄었으나 지방은 3만9700가구에서 4만1600가구로 오히려 2000가구 정도 늘었다.
아파트 청약시장도 분위기는 마찬가지다.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6·19대책이 나온 이후 청약접수를 진행한 전국 14개단지 중 1순위 마감에 성공한 곳은 8곳(57%)이었는데, 대부분 서울 등 수도권 소재 사업장이었다. 나머지 6곳 중 2곳은 그나마 2순위에 마감됐으나 4곳(29%)은 미달됐고 대부분은 지방이었다.
문제는 이 같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지방)간 주택시장 차별화 현상이 완화되기 보다는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수도권은 6·19부동산대책 등의 영향으로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기는 하겠지만 제한된 공급물량과 수요쏠림 등으로 국지적인 가격상승이 불가피하다는 게 대체적인 전문가들의 견해다.
반면, 지방은 과잉공급 우려에 지역경기 침체라는 악재가 겹치며 가격하락 압력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서울은 재건축이라는 상승 동기가 있지만 지방은 공급 증가와 대출 규제, 장기간 가격 상승에 따른 구매력 감소 등의 악재가 많다"며 "수도권과 지방 주택시장의 상반된 흐름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같은 지방 주택 시장이라도 대구·경북 등지는 약세, 강원·세종은 강세를 보이는 등 지역별 세분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이러한 지역별 세분화 현상이 심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펜=김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