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새 정부는 과연 “적폐 청산”을 외칠 자격을 갖췄는가?
한국거래소(KRX) 신임 이사장 공모과정이 점입가경이다. 이사장 임명은 명목상 ‘임원추천위원회 추천→주주총회 결의→금융위원회 위원장 제청→대통령 임명’ 순서로 돼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정확히 반대과정을 거친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쉽게 말해 정권에서 고른 사람이 임명된다는 의미다.
이 때문에 거래소 이사장직은 매번 ‘낙하산 논란’에 시달려 왔다. 지난 정권 때 임명돼 역대 최단기간인 11개월 근무로 퇴임한 정찬우 전 이사장의 경우는 물론이고, 그 전인 2013년 최경수 이사장 선임 당시에도 잡음이 많았다.
시간을 좀 더 돌려보면 참여정부 시기인 통합거래소 출범 때에도 ‘낙하산 논란’은 있었다. 통합거래소 출범 당시 ‘청와대 외압설’이 제기되며 최초 추천된 3명의 이사장 후보가 갑자기 자진 사퇴하는 이변이 있었던 것이다. 결국 열흘 만에 이영탁 전 국무조정실장이 단일 후보로 결정됐다. 정권과 관계없이 거래소 이사장직은 언제나 낙하산 논란을 야기해 왔다.
현 정권의 경우 ‘적폐 청산’을 국정의 주요 기조로 삼고 있는 만큼 기존의 불합리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많았지만 KRX 이사장직 공모에 대해서는 반드시 그렇지도 않은 모양새다. 최단기인 11개월 임기를 마친 정찬우 전 이사장 퇴임 이후 거래소 측은 새로운 이사장을 추대하기 위한 공모를 진행했다.
그런데 이례적으로 서류심사 결과 발표 하루 전인 지난 13일 갑작스런 ‘공모 연장’ 발표가 나왔다. 이는 2005년 통합거래소가 출범한 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일각에서 “정권이 밀고 있는 특정 인사에게 특혜를 주려는 ‘큰그림’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것도 어찌 보면 필연적인 수순이었다.
일각에선 이번 거래소 이사장직을 두고 ‘장하성 라인’과 ‘문재인 캠프’ 라인이 세력다툼을 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이례적인 공모 연장 또한 문재인 캠프 쪽 인물을 끌어들이기 위한 과정일 뿐이라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김광수 전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은 추가 공모가 진행되기 전까지는 가장 유력한 ‘차기 이사장 후보’ 중 하나였다. 사실상 김 전 원장이 낙점됐다는 말까지 나왔던 건 그가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가까운 사이이기 때문이다. 현 정부는 이른바 ‘장기하(장하성‧경기고‧하나금융) 라인’이 금융권 요직을 독차지하고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장하성 실장의 파워가 막강한 상황이다.
자연스럽게 김광수 전 원장에게 거래소 이사장직이 돌아갈 거라고 생각했던 분위기가 표변한 것은 금융감독원장 임명 이후부터다. 당초 김조원 전 감사원 사무총장이 유력할 것처럼 보였던 분위기였지만 실제로 임명된 것은 최흥식 전 서울시향 대표였다. 이로 인해 ‘장하성 라인’과 ‘대선캠프 라인’의 세력균형이 일그러졌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즉, 문캠 쪽 입장에서는 금감원마저 장기하 라인에 빼앗겨 버린 형세가 된 것이다.
세간의 추측 수준의 이야기지만, 거래소가 이사장직에 대해 이례적으로 추가공모 접수를 받으면서 위와 같은 해석에는 더욱 무게가 실렸다. 급기야 유력 휴보였던 김광수 전 원장이 자진사퇴하면서 세간의 ‘음모론’에는 더욱 힘이 실리게 됐다.
새롭게 부상한 유력 후보 김성진 전 조달청장이 최적의 KRX 이사장 후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해도 최근의 진행상황에는 미심쩍은 구석이 너무 많다. 특히 현 정부가 ‘적폐 청산’을 제1모토로 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KRX 이사장직 공모과정은 보다 투명하고 공개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이전 정권의 ‘블랙리스트’ 그 이상의 부정청탁이 현 정부에서 존재하는 것이라면 그 가능성은 조기에 차단돼야만 할 것이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