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문재인 대통령 "선제타격으로 전쟁 발발 용납 못해"

2017-12-06 18:22 | 김소정 부장 | sojung510@gmail.com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6일 종교지도자를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내년 제주 4.3사건 70주년 추도식에 참석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 참석한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대주교가 발언에 대한 답변으로 문 대통령은 “해마다 못가더라도 올해 광주 5.18추도식에 갔듯 내년에는 제주에 가야한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희중 대주교는 “한상균 민노총위원장이나 쌍용자동차 사태로 오랫동안 감옥에 있으면서 가족들까지 피폐해진 분들도 있다. 그들이 대통령님의 새로운 국정철학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면 한다”며 “또 내년 4.3항쟁 70주년 기념식에 대통령이 오신다고 약속하셨다”라고 말했다.
 
이 자리에는 김희중 대주교와 조계종 총무원장 설정 스님, 한기총 대표회장 엄기호 목사, 원불교 한은숙 교정원장, 천도교 이정희 교령, 민족종교협의회 박우균 회장, 유교 김영근 성균관장, 한국종교인평화회의 김영주 목사가 참석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각 종교지도자들의 인사말에 대해 일일이 답변하는 식으로 환담을 이어갔다.  

문 대통령은 북핵과 관련해서는 “북한핵은 반드시 해결하고 압박도 해야 하지만 군사적 선제타격으로 전쟁이 나는 방식은 결단코 용납할 수 없다”며 “우리의 동의없이 한반도 군사행동은 있을 수 없다고 미국에 단호히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는 두가지 대화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이고 또 하나는 남북관계개선을 위한 대화”라면서 “북한 핵문제는 북미가 중심이 될 수밖에 없는데 남북대화는 북한핵에 가로막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지금 긴장이 최고로 고조되고 있지만 계속 이렇게 갈 수는 없다. 결국 시기의 문제이고 풀릴 것이다. 이런 과정에 평창 올림픽이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를 위한 정부 대화는 막혀있는 만큼 종교계와 민간에서 물꼬를 터야한다. 이번에 천도교 방북이 처음 이뤄졌다. 그것이 물꼬가 될 수도 있고, 북한이 평창에 참여하면 스포츠 분야에서 대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강원도가 지자체 차원에서 대화를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3.1절 100주년을 언급하면서 “2019년이 3.1절 100주년인데 범국민적인 행사를 하려면, 내년부터 범국민준비위원회가 출범해야 하고 내년 예산에도 반영되어 있다. 내년이 되면 이를 본격적으로 준비하겠다. 또한 임시정부 100년·건국 100년이기 때문에 뜻깊은 행사로 준비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특별사면과 관련해 문 대통령은 “사면은 준비된 바 없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사면을)한다면 연말연초 전후가 될텐데 서민중심 민생중심으로 해서 국민통합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문 대통령은 “사드 문제와 관련 원불교에 많은 어려움을 드렸는데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확실한 해법이다. 그때까지 성지순례 등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는 취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문재인 대통령은 엄기호 목사가 “솔로몬의 성전에 금은 그릇도 필요하지만 부지깽이도 필요하다고 했다. 도저히 나쁜 사람은 안 되겠으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불구속 수사하거나 풀어주셔서 모든 사람들이 어울어질 수 있도록 탕평책을 써달라”고 말한 것에 대해 “탕평 부분은 정말 바라는 바”라며 “그러나 대통령은 수사나 재판에 관여할 수 없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은 구속이냐 불구속이냐 석방이냐 수사에 개입할 수 없다. 다만 국민과 통합을 이루어 나가려는 노력은 계속 되어야 한다”며 “정치가 해야 할 중요한 핵심이 통합인데 우리 정치문화가 통합과는 거리가 있다. 당선 뒤에 통합을 위해 계속 노력해왔지만 정치가 못하고 있으니 종교계가 우리사회 통합을 위해 더많이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종교지도자를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내년 제주 4.3사건 70주년 추도식에 참석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문 대통령(가운데)이 관저에서 나와 여민관으로 출근하는 모습./사진=청와대 제공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