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 서대청에서 열린 MOU 서명식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베이징=미디어펜 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세 번째 정상회담은 무려 2시간15분간 진행되면서 한반도 문제에 초점이 맞춰졌다.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양 정상의 의지를 반영한 4가지 원칙에 합의한 것은 물론 양 정상이 군사‧정치 문제에서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한 핫라인 구축을 결정했다.
문 대통령의 중국 방문 중 개인 일정이 양국의 경제교류 회복에 초점이 맞춰진 것과 아울러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은 앞으로 양국이 북핵 해결을 위해 협력하기 위한 초석을 다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두 정상간 대화가 오래 이어졌다. 확대정상회담도 당초 40분 예정이던 것에서 한시간을 훌쩍 넘겼고, 회의 중간에 양 정상이 일어서 테이블을 벗어나 별도로 5분간 대화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양 정상이 일어서서 대화할 때에도 물론 일부 배석자가 있었지만 그만큼 긴밀한 소통이 이뤄졌다는 의미로 이어지는 소규모회의에서는 양 정상은 주로 한반도 주변 정세에 대해 대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이 두 번째로 만났던 지난 11월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정상회담이 43분간 진행됐던 것에 비추어 꽤 오랜시간 논의가 이어진 것이다.
특히 이번 회담에서 시 주석은 “한중관계 개선에 있어서 최고의 모멘텀이 마련됐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비록 언론발표문에는 포함시키지 않았지만 지난 10.31 합의 이후 지금까지 상황에 대해 시 주석의 말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시 주석은 이날 한국 측이 주목해온 사드 문제를 직접 언급했다. 시 주석은 사드 문제와 관련해 중국 측 입장을 재천명하고, “한국 측이 이를 계속 중시하고 적절히 처리하기를 바란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시 주석은 “좌절을 겪으면 회복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지금 양국 관계는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고, 이런 일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쓰고 관리를 잘 해나가자”고 했다.
그러면서도 시 주석은 10.31 합의문에 적시된 ‘3불 원칙’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보다는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하면서 대화했다고 한다.
시 주석이 ‘한중관계 개선에 있어서 최고의 모멘텀이 마련됐다’고 말한 것은 거의 회담이 끝나갈 때쯤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확대정상회담에서는 시 주석이 사드를 직접 언급하는 대신 “지금 모두가 아는 이유 때문에 중한 관계는 후퇴를 경험했다”는 말로 양국 관계를 최고의 위기 상태로 빠뜨렸던 사드 갈등을 우회적으로 언급했었다.
이어 시 주석이 언론에 비공개로 진행된 소규모회담에서 사드 문제를 언급했지만 3불 원칙에 대한 노골적인 표현을 삼가한 것을 볼 때 시 주석 역시 한중관계의 개선을 위해 신중한 발걸음을 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세 번째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정상간 핫라인 구축으로 앞으로 북한의 미사일 도발 때 양 정상이 신속하게 전화통화를 갖고 대응책을 논의하게 될지 주목된다.
특히 중국과 북한 사이에는 있어왔지만 한국과 중국 사이에 전무했던 군사회담이 어떻게 발전될 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이날 비록 양 정상이 합의한 한반도 문제 4대 원칙이 한반도의 비핵화와 전쟁 불용 등 평화적 해결이라는 새롭지 않은 주제라고 하더라도 지금까지 양 정상이 각자 목소리를 내던 것을 이번에 한목소리로 지켜나가자고 합의한 점에서도 의미가 없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이날 청와대가 밝힌 한중정상회담 개최 결과에서 시 주석은 문 대통령에게 “좌절을 겪으면 회복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지금 양국 관계는 빠른 속도로 개선이 되고 있고, 이런 일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쓰고 관리를 잘해나가자”고 말했다.
시 주석의 말대로 10.31 합의 이후 한중 관계는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만 시 주석이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관리해나가자’고 말한 대목이 한국은 물론 중국에도 적용대 사드 문제가 더 이상 ‘다용도 빌미’가 되지 않아야 이날 한중 정상이 합의한 핫라인이 제 기능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