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3월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시되면서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 기준금리는 연 1.50%로 미국 정책금리 1.25~1.50%의 상단과 같다. 이 상태에서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인상을 단행하면 한미간 금리가 역전되는 만큼 한은의 금리인상 압박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제전문가들은 미국과의 금리격차에도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을 내놓는다. 1450조원까지 불어난 가계부채와 함께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GM사태 등 국내외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이달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오는 27일 이주열 총재가 주재하는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11월 금리를 연 1.25%에서 현 수준인 1.50%로 인상했다. 이어 올해 1~2차례 추가로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이나 당장 금리를 올리기에는 상황이 여의치 않다.
우선 1450조원까지 불어난 가계부채가 금리인상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금리가 인상되면 취약차주의 상환부담이 커지면서 가계부채 부담이 한국경제를 짓누를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또 한국경제가 지난해 3년 만에 3%대의 성장률을 회복했지만, 저조한 물가상승률은 금리인상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여기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공세가 거세지는 점도 부담이다. 미국이 지난달 한국산 세탁기와 태양광 패널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체)를 발동한데 이어 철강‧알루미늄 등을 겨냥한 보복관세 부과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로까지 통상압박이 확산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리 기업들의 수출피해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이런 가운데 미 연준의 3월 금리인상이 유력시되고 있다. 미 연준이 다음 달 연 1.25~1.50%에서 1.50~1.75%로 금리 인상하면 한은의 기준금리를 추월하는 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한다. 당장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출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이 같은 상황이 장기화되면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우려가 커 한은이 마냥 기준금리 인상을 미루기도 어렵다.
시장에선 일단 한은이 이달 금리를 동결하고 5월께나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점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외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 한은이 이달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점쳐진다”면서 “이후 새 한은 총재 취임과 국내외 경제상황 등을 고려해 오는 5월께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 유력하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