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한국GM '부실 떠넘기기'…눈살 찌푸린 완성차 업계

2018-02-26 13:37 | 김태우 차장 | ghost0149@mediapen.com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정부의 한국지엠 실사 조사가 강도 높은 신경전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완성차 업체들이 정부와 제너럴모터스(GM)의 줄다리기를 복잡한 심경으로 바라보고 있다.

정부가 특정 기업을 지원하는 것이 달갑지 않지만 지원이 없을 경우 GM의 한국 철수가능성과 이로 인한 후폭풍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26일 정부와 산업은행 등에 따르면 한국지엠에 대한 실사는 3월 초 본격화된다. 양측은 실사에 앞서 합의서에 넣을 문구를 최종 조율하는 단계다. 정부의 지원 여부를 가늠하게 될 실사인 만큼 투명하고 엄격한 진행을 위해 합의서도 신중하게 작성 중이다. 구속력이 있는 자료요청 권한을 담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사진=연합뉴스



한국지엠은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에 이어 세 번째로 점유율이 높은 완성차 업체다. 연간 180만대 남짓한 국내 시장에서 지난해 13만여대를 판매했다. 판매부진이 심화되기 이전인 2016년에는 18만대를 팔아 10%에 육박하는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한국지엠이 사라진다면 그로 인해 발생할 공백은 경쟁사들에게는 신규 수요의 호제로 작용할 수 있고 이런 측면에서는 국내 완성차 브랜드의 감소는 타 업체들에게는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생태계를 공유하고 있는 부품업체들의 문제를 보면 호제로만 작용하지는 않는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지엠의 1차협력사는 301개사다. 여기에 2차협력사 1000여개, 3차협력사 1700여개까지 포함하면 3000여개사에 달한다. 

이중 한국지엠에만 납품하는 전속협력사는 1차 협력사 기준 86개이고 2, 3차 협력사 중에서도 전속협력사만 추려내면 숫자는 크게 줄어든다.

한국지엠이 철수하면 가장 큰 타격을 입는 곳은 전속협력사들이다. 당장 거래처가 사라지니 도산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고용 대란도 우려된다. 하지만 경쟁사들이 우려하는 것은 전속협력사들이 아닌 나머지 협력사들이다. 

한국지엠 외 다른 완성차 업체들에게도 납품하는 협력사들은 한국지엠이 없어진다고 당장 문을 닫지는 않겠지만 거래처가 축소되니 경영악화가 불가피해진다. 매출이 줄면서 고정비 부담을 견디기 힘들어지며 당장 살아남기 위해서는 납품 가격 인상 밖에는 답이 없다.

생산차질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부품 업체들의 원활한 물량 수급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완성차 업체 4사 역시 부품가격 인상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런 부품 가격의 인상은 차량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고 수출시 가격경쟁력에도 문제가 발생하며 글로벌 사업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지난해 현대·기아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725만1013대를 판매했다. 이중 국내 판매물량은 121만489대로 약 5배가량 많은 물량(604만524대)을 해외에서 판매했다. 주로 현지생산을 하는 비중이 크지만 일부부품들의 경우 국내 업체들이 현지로 물량을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국내 부품 단가가 상승하거나 생태계가 무너지면 글로벌 사업역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르노-닛산 얼라이언스로부터 닛산 로그, 르노 클레오스와 탈리스만을 주문받아 생산해 수출하고 있는 르노삼성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국내 협력업체들의 문제로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면 얼라이언스 내 다른 공장으로 물량을 빼앗길 수도 있다.

완성차 업체 한 관계자는 "경쟁사가 없어져 국내시장에서 점유율확대가 된다면 표면상으로는 좋겠지만 자동차 산업에 악영향으로 작용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 사업에까지 악영향으로 작용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이런 완성차 업체들이 한국지엠이 정부의 지원을 달가워하지는 않는 다는 것이다.

정부 지원금으로 가격경쟁력을 높인 신차를 출시해 기사회생을 하는 것을 순순히 받아들일 동종업계 업체는 없다. 정부지원을 통해 높아진 가격경쟁력으로 자신들을 위협하는 것을 반기는 업체가 없고 특혜논란까지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지엠과 비슷한 입장의 르노삼성의 경우 르노-닛산 얼라이언스가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깔끔하게 사업을 한 대가로 이 같은 불이익을 감수할 리 만무하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지엠이 국내 완성차 업체로서 경쟁력을 다시 보유하고 협력사들까지 상생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는 것은 적극 환영한다"면서도 "하지만 자회사의 부실에 따른 존속 여부를 놓고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는 것은 GM의 행태는 잘못됐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관련기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