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셰일오일, 3km 지하서 찾은 변화③]미국산 에너지 수입, 1석3조 위한 포석

2018-03-22 13:31 | 나광호 기자 | n0430@naver.com
[미디어펜=나광호 기자]미국의 통상압력이 높아지고 세계 경기 회복 및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산유국들의 감산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는 가운데 원유·가스 수입선도 한정돼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로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천연가스 수입의 90%가 호주·중동·동남아 등 6개국에 집중됐으며, 특히 중동산 비중이 전체의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6년 가스공사가 전 세계에서 수입한 3184만7000톤의 액화천연가스(LNG) 국가별 물량을 보면 카타르(1181만9000톤)·호주(468만9000)·오만(424만1000)·말레이시아(382만3000)·인도네시아(313만8000)·러시아(186만3000)·브루나이(136만2000)·나이지리아(24만7000)·파푸아뉴기니(14만5000)·기타(52만) 순으로 집계됐다.

업계는 최근 정치와 경제 및 종교 등의 이유로 중동의 정세가 다시 불안정해지고 있어 수입선을 다변화하지 않을 경우 중동발 리스크에 대응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1970년대 발생한 '오일쇼크' 사태 등으로 볼 때 수입선이 한정되면 가격 협상에서도 불리한 위치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미국산 LNG는 국제유가가 아닌 지역 천연가스와 연계한 가격으로 도입할 수 있어 가격 변동 리스크도 적으며, 목적지 제한 조항이 있는 중동산과 달리 국내에서 소진하지 못한 물량을 타국에 재판매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한국가스공사·SK E&S·GS에너지 등의 업체가 이미 미국산 LNG 장기 도입계약을 체결했으며, 계약 규모는 3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가 한국 이송을 위해 선박에 실리고 있다./사진=한국가스공사



미국산 원유 도입도 확대되고 있다.

지난 1월 국내에 도입된 원유 중 중동산 비중은 77%로 전년 대비 7%포인트 감소한 반면, 아시아·미주·아프리카·유럽산 비중이 모두 증가하는 가운데 특히 미국산 원유 수입 확대가 두드러졌다.

SK이노베이션의 정유부문 자회사인 SK에너지는 올 1분기에 330만배럴의 미국산 원유를 도입한다. 이는 지난해 수입량인 550만배럴의 절반이 넘는 것으로, 올 상반기에만 지난해 수입량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GS칼텍스 역시 지난해 수입량인 481만배럴의 절반이 넘는 275만배럴 도입을 확정했으며, 현대오일뱅크 역시 시장상황을 보면서 추가 도입을 검토해 사우디 원유 비중이 100%인 에쓰오일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미국산 원유 도입확대는 셰일가스 개발에 힘입어 미국이 원유 수출금지 조치를 해제한 가운데 서부텍사스유(WTI)의 가격 경쟁력이 상승해 두바이유와 경쟁할 수 있게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OPEC의 감산 연장으로 두바이유 가격이 상승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WTI 도입의 경제성이 높아져 중동 산유국들이 아시아 지역 판매분에 대해 타 지역 판매분 대비 높은 가격을 책정하는 '아시아 프리미엄'에 대응할 수 있게된 것이다.

미 텍사스 주 휴스턴 인근 프리포트 액화천연가스(LNG) 전경/사진=SK이노베이션



경제적 원인 외에 미국의 통상압력을 낮추는 것도 미국산 에너지 수입 증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이 무역적자 등을 근거로 철강·알루미늄·석유화학·재생에너지 등 한국산 제품 전반에 대한 통상압박을 높이는 가운데 에너지 수입을 통한 대미 무역흑자 감소를 통해 압박 수위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산 에너지 수입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200억달러 이하로 떨어진 것을 비롯해 최근 2년간 80억달러 규모의 무역흑자가 감소했다.

강내영 한국무역협회 동향분석실 연구원은 "에너지 수입선 다변화·한미 FTA 체결 효과 등으로 대미 수입이 증가하는 가운데 미국의 수입규제로 대미 수출 부진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며 "지난 2년간 대미 무역흑자 감소세를 FTA 개정협상 과정에서 충분히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관련기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