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최주영 기자]우리나라 가계와 기업의 부채가 한국 경제가 감당할 수 있는 임계치를 훌쩍 뛰어넘었다는 경고가 나왔다.
16일 현대경제연구원의 ‘신흥국발(發) 부채 위기 오나? 글로벌 유동성 흐름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규모는 94.4%를 기록했고 증가폭 또한 중국(29.6%) 태국(23.8%) 스위스(22.9%)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았다.
GDP 대비 가계부채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 /사진=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는 한국의 가계부채 증감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3분기(73.9%)보다 20.5%포인트 증가한 것이고, 과다 부채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치(75%)보다도 19.4%포인트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 부채도 지난해 3분기 기준 99.4%로, 임계치(80%)보다 19.4%포인트 높았다. 신흥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는 2008년 56.2%에서 지난해 104.3%로 48.1%포인트 늘어났고 선진국도 같은 기간 86.8%에서 91.7%로 상승했다.
보고서는 2008년 이후 주요국 정부의 양적 완화와 마이너스 금리 정책 등이 신흥국의 민간 신용과 부채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러한 신흥국의 신용 증가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유동성 축소가 본격화할 경우 세계 경제의 위험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현대경제연구원이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 22개국과 한국을 비롯 중국 브라질 러시아 등 신흥국 21개국 등 총 43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신흥국의 GDP 대비 민간신용은 2009년 99.1%에서 2017년 143.2%로 44.1%포인트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선진국 GDP 대비 민간신용이 8.4%p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또 신흥국 기업부채 수준은 2008년 GDP 대비 비중이 56.2%에서 2017년 104.3%로 48.1%p 확대되며 과다 기업 부채 임계치 80.0%를 크게 상회했다.
박용정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미국에 이어 전 세계적으로 금융 및 통화 정책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 글로벌 유동성 축소와 신흥국발 신용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실물 및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사전적 정책 대응 노력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대외리스크에 강한 경제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최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