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부진한 경기에 기준금리 '7월 인상론'도 안갯속

2018-05-23 11:08 | 백지현 기자 | bevanila@mediapen.com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24일로 예정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상여부에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시장에선 현행대로 연 1.50%로 동결될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대내외 통화정책 정상화 움직임이 부담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실물경제지표의 부진과 신흥국 금융불안 등이 금리인상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제공=한국은행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투자협회가 지난 8~11일 채권시장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3.0%는 이달 기준금리가 현재 1.50%로 동결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달 설문조사에서 89.0%가 동결을 전망했던 것보다 소폭 증가했다.

올해 초만 하더라도 경제 전문가들은 한은이 밝힌 신중한 통화정책 방향과 한은 총재의 교체 시기를 고려해 상반기 5월 혹은 하반기 7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기준금리를 당초 세 번에서 분기말에 한 차례 더 올릴 것이란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면서 한은이 늦어도 7월경에는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고돼 왔다.

하지만 한미간 금리역전이 현실화 된 상황에서도 한국은행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당장 금리역전으로 인한 급격한 자본유출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역전 폭이 커질수록 한국경제에 미치는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예상보다 부진한 경기상황이 이어지면서 ‘7월 인상론’도 힘들 것으로 관측된다. 2~3월에 이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작년 동기 대비 12만여 명에 그치는 등 10만명대 증가에 머물렀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이 같은 경기상황을 의식한 듯 지난 17일 임지원 신임 금통위원 취임식에서 “경제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진단하며 “특히 고용상황이 걱정”이라고 언급했다.

해외기관들 역시 국내외 경제상황을 고려했을 때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7월보다 더 미뤄진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경기지표부진과 수출 하방 리스크 등의 요인을 들어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횟수를 2회에서 1회로 줄이고, 인상 시기도 7월에서 10월로 늦췄다.

골드만삭스는 수출둔화와 경제심리지수 약화로 자체 분석한 경제활동지수가 3월 3.6%에서 4월 2.5%로 하락했다고 진단했다. 또한 고용 둔화와 반도체 수출 관련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실문지표를 근거로 통화정책을 할 필요성이 부각된다고 언급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장에서는 이달 한은 금통위의 금리 동력이 유력하다고 내다보고 있다”며 “국내외 경기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7월 인상보다는 10월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전했다.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