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 금리인상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한 ‘6월 위기설’이 재점화 되는 분위기다.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매파적 성향이 강화되며 올해 4차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 가운데 미국 금리상승 및 달러강세로 신흥국에서 자본유출이 일어나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12~13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 1.50~1.75%로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1.75~2.00%로 0.25% 포인트 인상할 것이 유력시 된다.
연준이 지난 3월에 이어 추가로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 확실시되면서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등 신흥국 곳곳에서 자금이탈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다.
실제 자금유출과 페소화 가치 급락에 시달리고 있는 아르헨티나는 지난 7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신청한데 이어 3년 동안 500억달러(53조4750억원)를 지원받기로 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이번 미국의 금리인상이 신흥국에 미칠 영향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 총재는 지난 4일 ‘BOK 국제콘퍼런스’ 개회사를 통해 “최근에도 미 금리상승과 달러화 강세가 일부 신흥국 금융불안 원인이 됐다”고 진단하며 2013년과 같은 긴축발작이 재연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그는 “2013년 테이퍼 탠트럼(긴축발작) 당시 미국 통화정책 기조 변화 신호가 신흥 시장국의 급격한 자본유출과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을 초래했다”며 “앞으로 선진국들의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언제든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당초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이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우리나라의 양호한 기초경제여건 및 대외건전성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외국인 자금 유출입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하지만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짙어지면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당장 자본 유출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한국경제의 잠재적 리스크로 작용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한미간 금리는 지난 3월 역전된 데 이어 이번에 금리가 인상되면 금리차는 0.50% 포인트로 벌어지게 된다. 금리차가 더 확대되거나 장기화될 경우 국내 경제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크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확실시 되면서 대외건전성이 취약한 국가들을 중심으로 금융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크다”면서 “당장 자본유출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한국경제에 잠재적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책 마련이 절실하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