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이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함에 따라 한미간 금리차는 0.50%포인트로 더 벌어지게 됐다.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매파적 성향이 강화되며 올해 4차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미간 금리가 더 확대되거나 장기화될 경우 국내시장에 미칠 파장도 만만치 않을 것이란 우려가 짙어지면서 한국은행의 고민도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13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종전의 연 1.50~1.75%에서 1.75~2.0%로 0.25% 포인트 올렸다. 미국 기준금리 상단이 2%대를 찍으면서 우리나라와의 기준금리 차이는 0.50% 포인트로 벌어졌다.
연준은 올해 총 4차례의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하반기에도 두 차례의 추가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올해 1차례 정도 인상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올해 3%의 경제성장 전망은 유지했지만, 물가상승세가 목표치에 미달하면서 당장 기준금리를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란 해석이다.
정부는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한적”이라고 평가하는 한편 차주 부담을 낮출 수 있는 추가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 직후 시장에서 일시적으로 주가하락과 금리상승, 달러 강세가 나타났지만 시장의 영향은 제한적이었다”며 “우리나라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간 금리차 확대로 자금유출 가능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주식과 채권시장에서 대규모 자금유출 가능성은 낮다는 판단이다. 다만 정부는 아르헨티나, 브라지 등 신흥국의 금융불안을 언급하며 금리인상 여파가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경우 차주 부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이날 출근길 기자들과 만나 “금융시장은 이를 호키시(매파적)하게 받아들이고 있지만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는 아니다”며 금리차에 따른 자본유출 가능성에 대해서도 “한두 번 금리인상으로 자본유출이 촉발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경제 전문가들은 한미간 금리차 확대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한국경제에 부담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장기간 금리차가 벌어질 경우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 등 금융시장의 불안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고 우리나라 채권 수요를 낮춰 시중금리 상승압력을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여기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시중금리 상승으로 가계와 기업 등 경제 주체의 부채 상환부담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0.5% 포인트 오를 경우 금융부채는 4조7000억원으로 늘어난다. 대출금리가 1% 포인트, 1.5% 포인트 오르면 금융부채는 각각 9조2000억원, 14조6000억원으로 불어난다.
금융권의 관계자는 “연준이 올해 4차례의 금리인상을 시사하면서 미국 금리 상승에 따른 시중금리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며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시중금리 상승으로 경제 주체의 부채 상환 부담이 가중되는 만큼 가계의 소득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