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우리금융' 겸직·분리 시끌…26일 이사회 절차 착수

2018-10-23 16:23 | 박유진 기자 | rorisang@naver.com



[미디어펜=박유진 기자] 내달 지주사 전환 인가를 앞둔 우리은행이 '우리금융지주' 출범 전부터 지배구조 문제로 시끄럽다.

지주사 회장 선출 작업에 앞서 첫번째로 넘어야 할 산은 회장의 은행장 겸직 문제다. 향후 정부의 입김을 피해 전문경영인(CEO)을 선출하는 것도 큰 과제로 남아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주사 전환에 앞서 우리은행 이사회는 오는 26일 이사회를 열고 회장 후보 모집 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진다.

기존까지 회장 격이나 마찬가지였던 은행장과 회장을 분리, 겸임하느냐에 따른 지배구조 안건이 있어 우선 회장 후보부터 선정한 뒤 그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수익 구조에서 은행 부문의 의존도가 90%를 넘는 우리금융으로선 회장과 행장직 분리 시 회장의 권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될 수 있다. 겸임 가능성이 더 높은 이유다.

과거 시중은행의 지주사 전환 모습에 비춰봐도 겸임 방식이 더 효율적이었던 사례가 많다.

예컨대 우리은행 또한 민영화 이전 우리금융지주 당시 은행장과 회장직을 분리하는 '쌍두' 체제를 운영했다 내부 갈등이 일기도 했다. 지난 2001년 우리금융지주는 지주 회장과 우리은행장 '쌍두' 체제를 채택했다가 회장과 행장 간의 갈등으로 지주사 조정기능에 애를 먹었다.

겸임 방식으로 지배구조를 구성했더라도 결국은 경영 정상화가 되면 회장과 은행장이 분리되기 때문에 향후 지주 회장에 대한 권한 높이기에 집중해야 한다는 시각도 많다. 은행장 선임 때 지주사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미치느냐에 따라 통제력 논란을 피할 수 있다.

만약 분리 운영 시 회장은 대정부 교섭력이나 비은행 부문의 대형 M&A(인수합병) 등에 주력할 수 있는 인사로 선임되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우리은행은 아직까지도 예금보험공사가 전체 지분의 18%를 가진 대주주이기 때문에 정부 교섭력은 필수다. 현 시점에서도 정부는 우리금융 회장 인선에 개입할 수 있다는 의지를 보여 문제가 불거진 상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15일 우리은행 지배구조 문제와 관련해 "우리은행의 경영이 자율적으로 잘되게 해야한다는 생각에는 원칙적으로 변함이 없지만 지분의 18%를 정부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배구조에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내비쳐 정부가 '낙하산 심기'에 나서려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위성백 예금보험공사 사장 또한 지난 22일 서울시 중구 IBK기업은행에서 진행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대주주로서 공적 자금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것이다"고 시사해 향후 지배구조 개입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미디어펜=박유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