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靑 “블랙리스트란 ‘먹칠’ 삼가하라…문재인정부에 그 딱지 붙이다니”

2019-02-20 15:53 | 김소정 부장 | sojung510@gmail.com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청와대는 20일 “블랙리스트란 ‘먹칠’을 삼가달라”면서 “블랙리스트란 말이 너무 쉽게 쓰여지고 있다. 문재인정부의 인사정책에 그 딱지를 갖다 붙이고 있다”며 유감을 표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과거 정부의 블랙리스트와 이번 환경부의 산하기관 인사를 비교해보자”며 대상이 다르고, 숫자에서 비교가 되지 않고, 작동 방식도 다르다고 조목 조목 짚었다. 

먼저 김 대변인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의 대상은 민간인들이었다. 영화, 문학, 공연, 시각예술, 전통예술, 음악, 방송 등에 종사하는 분들이 목표였다”며 “그러나 이번 환경부 건은 공공기관의 기관장, 이사, 감사들로 국민 전체에 봉사하고 국민에게 책임지는 것을 본질로 하는 분들이다. 짊어져야 할 책임의 넓이와 깊이가 전혀 다르다”고 했다.

또 김 대변인은 “이명박‧박근혜 정부 8년여동안 관리한 블랙리스트 관리 규모는 2만1362명에 달한다. 그 가운데 피해가 확인된 것만 8931명의 문화예술인과 342개 단체였다”며 “그러나 한국당 등 일부 야당이 ‘블랙리스트 작성, 청와대 개입 근거’라고 주장하는 ‘환경부 산하기관 임원들의 사퇴 등 관련 동향 문건’에 나타난 것을 보면, 거론된 24개의 직위 가운데 임기 만료 전 퇴직이 5곳에 불과하다. 더욱이 임기 초과 퇴직은 9곳으로 2배가량 많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문건은 사실관계조차 잘못되었다는 사실이 지난 12월 31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밝혀진 바 있다. 환경부뿐 아니라 다른 부처의 산하기관의 경우 대부분이 임기를 보장받았고, 오히려 후임자를 찾지 못해 전 정부에서 임명된 기관장·이사·감사들이 기간을 연장하면서까지 근무한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필요하다면 통계자료를 만들어 공개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작동방식이 다르다”며 “박근혜정부 때는 2014년 여름부터 2015년 1월까지 청와대 정무수석실에서 블랙리스트가 작성됐고,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실을 경유해 문체부와 문예위로 내려보내 지원사업 선정에 반영했다. 하지만 문재인정부에서는 그런 일을 한 적도 없을뿐더러 그런 리스트를 작성하라고 지시한 적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은 “청와대 인사수석실이 하는 일은 환경부를 비롯한 부처가 하는 공공기관의 인사 방향에 대해 보고를 받고 협의하는 것”이라며 “공공기관 기관장 등에 대한 임명권자가 대통령이기에 청와대 인사수석실이 장관의 임명권 행사가 적절하게 이뤄지고 있는지를 일상적으로 감독하는 것은 너무도 정상적인 업무절차이다. 만일 그걸 문제 삼는다면 청와대 인사수석실 자체의 존재 이유가 사라지게 된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과거 정부의 블랙리스트 사건에서 법원이 판결을 통해 정의한 블랙리스트의 개념을 보면 지원을 배제하기 위해서, 계획을 세우고, 정부조직을 동원해, 치밀하게 실행에 옮긴 것이다. (환경부 리스트가) 네가지 조항 가운데 어디에 해당하는지 엄밀하게 따져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환경부 장관이 일부 산하 기관에 대해 감사를 벌이도록 한 것도 적법한 감독권 행사이다. 물론 이런 권한은 합법적인 틀 안에서 행사돼야 한다”며 “감사의 수단이 합법인지 불법인지는 현재 검찰이 수사 중에 있다. 그 결과가 나올 때까지 청와대는 최대한 조용하게 지켜볼 것이다. 언론도 블랙리스트란 용어를 사용하는데 신중을 기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대변인은 “일부 언론보도가 더욱 씁쓸한 것은 과거의 보도 태도와 너무도 다르기 때문”이라며 “눈에 띄는 몇몇 사설과 칼럼의 제목만 올려봅니다. 아울러 과거 공공기관장 교체와 관련해서 책임자들이 한 발언도 함께 덧붙인다”며 2008년 일부 언론매체들의 ‘물러나야 할 때 물러나지 않는 사람들’, ‘노 정권 ’낙하산 코드 인사‘ 스스로 물러나야’ 등의 사설 제목도 첨부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연합뉴스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