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한국 가계 소득격차 OECD 36개국 중 32위

2019-04-11 12:42 | 윤광원 취재본부장 | gwyoun1713@naver.com

[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 격차가 확대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 중 32위에 머문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의한 연간 소득분배지표를 11일 공개했다.

이번에 추가로 공개된 지표는 가계 소득 상위 10% 인구의 소득점유율을 하위 40% 인구의 소득점유율로 나눈 비율, 가계 소득 상위 10% 경곗값을 하위 10% 경곗값으로 나눈 10분위수 배율, 중위소득 60% 기준 상대적 빈곤율, 평균 빈곤갭 등이다.

10분위 수 배율은 2017년 5.79배로, 2016년(5.73배)에 비해 소폭 악화됐다.

OECD는 가계 소득 상위 10% 선에 걸친 값을 소득 하위 10% 선에 걸친 값으로 나눈 이 배율을 국가별 소득 불평등을 재는 주요 지표로 활용하는데, 이 배율이 상승할수록 소득불평등도는 높아진다.

우리나라의 10분위 수 배율은 OECD 36개 회원국 중 32위로 가계 간 소득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다 가계 간 소득 격차가 큰 OECD 회원국은 멕시코(7.2배), 칠레(7배), 미국(6.3배)뿐이었고, 리투아니아는 5.8배로 한국과 같았다.

우리나라의 가계 소득 상위 10% 인구의 소득점유율을 하위 40% 인구의 소득점유율로 나눈 팔마비율은 2017년 1.44배로 2016년(1.45배)에 비해 소폭 개선됐지만, OECD 36개 회원국 중 30위에 머물렀다.

중위소득 60% 이하 상대적 빈곤율도 2017년 23.2%로 2016년(23.7%)에 비해 조금 나아졌지만, OECD 36개 회원국 중에서는 29위 수준이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