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현대차그룹-앱티브 합작법인…"채워지는 자율주행 역량"

2019-09-24 16:03 | 김태우 차장 | ghost0149@mediapen.com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자율주행기술분야의 성장을 위해 진행하고 있는 미국 앱티브와 합작법인 설립에 대해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기는 결단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독자적인 역량으로 기술확보에 힘을 쏟아온 현대차그룹이 정의선 수석부회장 체제와 함께 기존 틀에서 벗어난 제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현대차그룹과 앱티브사는 미국 뉴욕 골드만삭스 본사에서 (사진왼쪽)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과 (사진오른쪽)케빈 클락 앱티브 CEO 등 양사 주요 경영진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합작법인 설립에 대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사진=현대차그룹



23일(현지시간) 현대차그룹과 앱티브사는 미국 뉴욕 골드만삭스 본사에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과 케빈 클락 앱티브 CEO 등 양사 주요 경영진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합작법인 설립에 대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총 40억달러 가치의 합작법인 지분 50%씩 확보하고 이사회 동수구성 등 공동경영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20억달러(현금 16억달러 및 무형자산 4억달러)를 출자하고 앱티브는 자율주행 기술과 지적재산권, 자율주행솔루션 개발인력(700여명)을 출자할 예정이다. 지분은 현대자동차 26%, 기아자동차 15%, 현대모비스 10%, 앱티브 50% 등으로 나뉜다.

이를 통해 양사는 오는 2022년 말쯤 완성차에 장착하는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2024년에 본격적인 양산을 통해 성능을 인정받고 양사의 조인트 벤처에서 개발된 시스템을 다양한 완성차 브랜드에 공급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증권업계는 자율주행 선두업체와 기술격차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현대차그룹의 행보에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권순우 SK증권 연구원은 "합작 설립을 통해 상호 보완적인 역량 및 기술 통합과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며 "내연기관차를 비롯해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를 합작법인에 공급하고 앱티브가 진행하던 로보택시 시법 사업에도 현대기아차 차량 투입이 유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송선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번 투자는 말그대로 기술확보 차원"이라며 "다양한 분야의 원천기술뿐만 아니라 양산기술로 확보하고 있는 앱티브테크놀로지가 파트너가 되며 단시간에 이익을 내지는 못하겠지만 미래기술력에 대한 의미 있는 투자로 해석된다"고 진단했다. 

박상원 흥국증권 연구원은 "현대차그룹은 소프트웨어 기술력이 부족해 완전자율주행차 시대에 불리했지만 이번 합작 설립으로 지속 성장에 큰 난제를 해결했다"라고 판단했다.

조수홍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업화 과정에서 불확실성은 존재하고 향후 사업 전개 과정에서 어떤 수익구조(모델)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은 필요하다"면서도 "다만 미래 이동성의 변화과정에 대응하는 의미 있는 규모의 첫번째 오픈 이노베이션이라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완전자율주행의 타임스케줄이 단축된 것도 큰 성과로 꼽힌다.

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합작 설립을 통해 공개된 스케쥴은 앞당겨졌을 뿐만 아니라 구체성과 실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 차별화 된다"고 평가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기존 오로라(미국 자율주행 기술 기업)와의 협력을 통해 2021년 제한된 지역에서의 레벨4 구현, 2030년 레벨5 상용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현대모비스는 2022년부터 자율주행 필수 센서(레이더, 카메라, 라이다)를 양산하고 2025년에는 자율주행/커넥티비티 부품 중심 기업으로 탈바꿈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유지웅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차는 연초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2024년에 로보택시 양산을 언급했는데 이번 발표는 이보다 약 2년가량 빠른 양산일정"이라며 "앱티브를 사업 파트너로 택하면서 현대차그룹은 경쟁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들과의 파트너십 보다는 기술교류에서의 이점회복과 사업주도권을 모두 가져갈 수 있는 티어-1 부품사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특히 외부 업체와의 지분제휴에 보수적인 현대차그룹이 정의선 수석부회장 시대들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데 대해서도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문용권 신영증권 연구원은 "이번 합작 설립도 선두업체와의 기술격차 축소를 위해 그동안 고수했던 독자기술 개발 정책에서 탈피한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며 "지분손익으로 편입될 합작법인이 수년간은 적자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선행기술투자인 만큼 우려 요인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포드와 합작사(JV), 다임러와 지분제휴를 맺은 바 있었지만 끝이 좋지 못했던 현대차는 외부업체와 제휴에 보수적이었다"며 "하지만 정의선 수석부회장 시대들어 직급체계 단순화, 복장과 자리자율화, 외부인력 영입 등을 통해 빠르게 변화 중이다"고 진단했다.

이를 두고 현대차그룹이 향후 지배구조 변경과정에서 지주회사 체제를 여전히 배제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왔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과거 현대차그룹은 지주회사 체제로 가지 않는 이유의 하나로 대규모 투자에 대한 자금 동원 필요성을 든 바 있다"며 "향후 투자 건들에 대해 이번 합작회사 투자와 같이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가 함께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이 사용될 경우 지주회사 체제로 이행하는 것은 어렵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로 이행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정의선 수석부회장이 지배하고자 할 기업은 현대모비스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