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손희연 기자]정부가 '광역교통 비전 2030'을 통해 전국 5개 광역도시권에서의 광역거점간 통행시간 30분대 단축 계획을 발표했다. 거점간 통행시간 30분대 단축, 통행비용 최대 30% 절감, 환승시간 30% 감소가 골자다. 이어 정부는 수도권 서부권에 GTX-D 신규 노선도 검토할 전망이다.
정부는 '광역교통 2030'이 차질 없이 추진되면 2030년엔 대도시권 광역교통 여건이 지금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간선급행망의 조기 구축 및 연계교통 강화로 수도권 내 주요 거점과 서울 도심을 30분대에 연결하여 출퇴근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될 것이라는 것.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의 '광역교통 2030'을 31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광역교통 2030'은 앞으로 10년간 대도시권 광역교통의 정책 방향과 광역교통의 청사진을 그리는 기본구상이다.
'광역교통 2030'의 핵심 내용은 광역거점간 통행시간 30분대로 단축을 비롯해 통행비용 최대 30% 절감, 환승시간 30% 감소 등이다.
정부는 △광역거점 간 통행시간 30분대로 단축 △통행비용 최대 30% 절감 △환승시간 30% 감소를 3대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세계적인 수준의 급행 광역교통망 구축 △버스·환승 편의증진 및 공공성 강화 △광역교통 운영관리 제도 혁신 △혼잡·공해 걱정 없는 미래교통 구현을 4대 중점 과제로 추진한다.
정부는 수도권 주요 거점을 광역급행철도로 연결해 파리, 런던 등 세계적인 도시 수준의 광역교통망을 완성할 계획이다.
우선 GTX A노선(2023년), 신안산선(2024년)을 계획대로 준공하고 GTX B·C노선의 조기 착공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수도권 인구의 77%가 급행철도 수혜지역에 놓일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특히 광역급행철도 수혜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수도권 서북권 등에 신규 급행노선을 추가로 검토해 내년 하반기까지 확정·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수도권 서부권에 광역급행철도GTX-D 신규 노선을 검토할 방침이라는 것.
이날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수도권 급행철도 수혜인구를 77% 늘려 주요거점간 (이동)시간을 30분대로 줄이고, 광역급행철도 수혜범위도 확대하기 위해 수도권 서부권에 신규노선을 추가 검토한다"고 밝혔다.
이어 "도심 내 만성적인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 주요간선도로의 대심도 지하도로 신설방안도 내년까지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4호선(과천선) 등 기존 광역철도 노선을 개량해 급행 운행을 실시한다. 인덕원~동탄 등 신설 노선도 급행으로 건설해 급행 운행비율을 현재 16%에서 2030년 35%로 2배 이상 확대할 예정이다.
유기적인 철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동서축 수인선(2020년), 남북측 대곡~소사(2021년) 등을 보강하고 부산·울산권 사상~하단선(2023년), 광주권 광주2호선(2025년) 등 도시 내 철도도 지속적으로 확충한다.
성남 트램 등 GTX 거점역 연계 교통수단과 대전2호선 트램, 위례신도시 트램 등 지방 대도시와 신도시의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으로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트램과 철도를 연결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도심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간선 기능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제1순환고속도로 서창~김포, 판교~퇴계원 도로 복층화를 검토하고 제2순환고속도로는 2026년 전구간 개통할 예정이다. 주요 간선 상습정체 구간은 대심도 지하도로를 신설한다.
수도권 동서횡단축 등 주요 간선도로와 부산·울산권 사상~해운대 등에 대심도 지하도로 신설도 검토한다. 지하부는 자동차, 지상부는 BRT와 중앙버스차로 등 대중교통차로로 활용하는 구상이다.
광역버스 확대와 함께 서비스의 질도 높인다. M버스 운행지역을 지방 대도시권까지 확대하고 2022년까지 전 노선 예약제를 도입해 대기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남양주 왕숙, 인천 계양, 부천 대장 등 3기 신도시에는 지하철 시스템을 버스에 도입한 S-BRT를 구축한다. 청라~강서 2단계 등 광역BRT 구축 사업은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고속 BTX 서비스를 도입해 기존 광역버스보다 이동시간을 30% 이상 단축한다. 고속 전용차로와 종점부 구간엔 지하에 전용차로 및 환승센터를 설치해 이동속도를 30% 이상 향상하는 방안도 연구용역을 거쳐 마련한다.
환승센터는 도심형(삼성역 등), 회차형(청계산입구 등), 철도연계형(킨텍스역 등)으로 구축하고 광역버스를 연계한다. 대중교통 운행체계를 환승센터 중심으로 재정비해 환승시간을 최대 30% 줄인다는 계획이다.
교통비 부담도 줄인다. 교통비를 최대 30% 절감할 수 있는 광역알뜰교통카드를 내년부터 본격 시행하고 신도시 등 교통소외지역을 위해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도 검토(2020년 시범사업)한다.
광역교통 운영관리 제도 개선에도 나선다. 쪼개기, 연접개발 방식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수립기준을 100만㎡·인구 2만 이상에서 50만㎡·인구 1만 이상으로 강화한다. 아울러 지구지정 단계부터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에 착수해 입주시기와 광역교통시설 개통시기 시차를 최소화한다.
또한 신도시 입주 초기 단계의 교통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제도를 도입, 광역버스 운행과 환승정류장 설치 등 즉시 시행 가능한 특별대책을 시행한다. 한시적인 보완대책으로 입주 초기 출퇴근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광역교통 시설·운영 투자는 현재 5% 수준에서 더욱 확대하고 공급자-수요자가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2020년부터 광역버스 노선에 2층 전기버스를 운행하는 등 대중교통 수단을 CNG, 수소 등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한다. 역사 등에는 공기정화 시설을 확충해 미세먼지 안심지대로 조성한다.
최종 목적지까지 끊김 없는 교통 서비스도 제공한다. 광역버스, GTX 등과 공유형 이동수단인 전동 킥보드, 공유자전거 등을 결합해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시 내 모든 개인별 최적 통행 플랜을 제시하고 일괄 예약부터 결제까지 가능한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최기주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장은 "광역교통 2030 세부과제별 추진 계획을 철저히 마련하고 관계기관·지자체와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며 "광역거점 간 통행시간 30분대로 단축, 통행비용 최대 30% 절감, 환승시간 30% 감소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손희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