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국내 완성차 생존 마지노선 400만대…3사 부진에 붕괴우려

2019-11-06 16:59 | 김태우 차장 | ghost0149@mediapen.com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르노삼성자동차와 쌍용자동차, 한국지엠 등 국내 완성차 3사의 실적부진이 두드러지며 올해 완성차 생산량이 연 400만대를 밑돌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자동차 연간생산량 400만대는 국내 자동차 산업을 유지할 마지노선으로 평가되고 있다. 

신차효과 기대감에도 극심한 노조리스크와 고임금·저효율 구조에 따른 문제로 생산구조 붕괴가 본격화되고 있는 정황들이 포착되며 관련 산업생태계가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차체 3라인 /사진=쌍용차



6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총 291만528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0.5% 증가한 289만9556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 전체 생산량이 하향 전환한다는 점에서 400만대 생산 붕괴에 대한 우려가 높다.

특히 4분기가 시작된 지난달까지 국내 완성차업체의 누적 생산량은 326만6698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28만1211대)보다도 0.4% 줄어든 기록이다. 최악의 부진을 겪은 지난해보다 더 줄어든 생산량을 보인 것.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는 390만대 선에서 생산이 멈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 완성차 생산대수는 2015년 456만대를 기록한 이후 2016년부터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세계 10대 자동차 생산 국가 중 생산량이 3년 연속 줄어든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이에 국내 자동차 생산 능력은 지난 2005년부터 11년간 5위를 지켜오다 지난해 인도·멕시코에 이어 7위까지 추락했다. 

이 같은 생산량의 감소는 르노삼성과 쌍용차, 한국지엠 등 3사의 부진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들의 올해 생산량은 지난 2005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내년에도 마땅한 신차 없는 이들의 경우 더 큰 문제가 우려되고 있고 본사로부터 수출물량을 배정을 받아야하는 르노삼성과 한국지엠의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한국지엠과 르노삼성, 쌍용차는 올 들어 지난달까지 10개월간  58만9744대를 생산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동안 생산물량인 66만8596대보다 11.8% 줄어든 수치다. 

이런 추세로 가면 올해 3사의 생산량은 70만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년 전만 해도 이들 3개 회사는 90만대가 넘는 생산량을 보여 왔다.

생산량이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르노삼성으로 10월까지 누적 생산량이 13만7472대로 18만2624대를 기록한 전년 동기대비 23.3% 급감했다. 르노삼성의 생산량 감소는 노조의 연이은 파업으로 닛산 로그의 위탁 생산물량이 연간 10만대에서 6만대로 축소됐기 때문이다. 

군산공장 폐쇄로 지난해 실적이 바닥일 것이라 예상됐던 한국지엠의 경우 8.0% 줄어들며 올해 더 생산량이 감소했다. 지난해 극한의 노사 갈등으로 소비자의 신뢰가 무너졌고 영업망까지 부실해진 것이 생산량 감소에 직격탄을 날렸다.

한국지엠은 올해 파급력 있는 신차들이 등장은 했지만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차로 국내 공장의 생산량과는 무관하다. 한국지엠은 지난 2013년까지만 해도 연 70만대 넘는 생산량을 보였던 곳이지만 올해는 이 절반수준을 간신히 넘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쌍용차는 티볼리를 통해 선전하는 모습을 보여 왔지만 최근 현대차와 기아차에 경쟁모델이 등장하며 기를 펴지 못하고 있다. 코란도와 티볼리의 신차를 출시하긴 했지만 이를 통한 시장 반전은 힘든 모양새다. 

이 같은 3사의 부진에 대한 문제는 탈출구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국지엠과 르노삼성 모두 임금협상과 관련된 실마리를 찾고 있지만 평행선은 좁혀지지 않고 있다. 노조 리스크는 생산물량 감소에 따른 인력 재배치와 미래 전략마저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 중이다.

국내 완성차 업계의 생산능력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도 자동차산업의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조사한 상반기 생산능력은 현대차가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한 88만6100대, 기아차가 2.4% 줄어든 76만1000대였다.

신차 효과가 생산량 증가로 이어지지 못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국내 완성차 업계의 구조상 증산을 결정하려면 노조와 합의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기아차의 차기 노동조합 집행부 선거에서 '물량 확보'가 핵심 공약으로 떠오른 것도 같은 맥락이다. 실제 일부 모델의 증산을 결정한 현대차의 지난 9월 누적 판매량이 4.1% 증가한 것과 달리 기아차는 4.9% 감소한 바 있다. 

친환경차로 패러다임이 바뀌는 과정에서 공장별 물량 확보가 일터의 지속성을 결정하는 열쇠로 인식되고 있다는 의미다. 

완성차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자동차 산업의 생태계를 유지하는 마지노선인 400만대 붕괴가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노조리스크와 고임금 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완성차 생산량의 감소는 더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관련기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