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최근 은행권에 대형 악재가 연이어 터지면서 금융권을 바라보는 고객의 시선이 싸늘하다. 지난해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에서 판매한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가 채 마무리되기도 전에 또다시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환매 중단 사태가 발생하면서다.
판매과정에서 은행이 상품 설명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은행의 책임론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나 라임펀드에 불법적인 요소가 드러나면서 은행을 믿고 펀드에 가입했던 고객들의 공분이 거세다.
금융권에선 사회적 물의를 빚었던 DLF사태가 가시기도 전에 금융사의 불완전판매로 인한 불협화음이 계속되면서 금융산업 위축으로 이어질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이 환매 중단한 1조5000억원 규모의 펀드에 대한 실사 결과가 이달 중순께 나올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은행에서 판매한 펀드의 규모는 약 35%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펀드 판매사들이 판매한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판매전액 4조3481억원 가운데 은행에서 판매된 규모는 약 1조2200원(28.2%)를 차지했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518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은행 3944억원, 하나은행 1416억원, 부산은행 734억원, NH농협은행 462억원 등의 순으로 많이 팔았다.
환매가 중단된 모(母)펀드는 사모채권을 주로 편입한 ‘플루토 FI D-1호’, 전환사채(CB) 등 메자닌에 투자한 ‘테티스 2호’, 무역금융펀드로 알려진 ‘플루토 TF1호’ 등 3종류다. 이중 플루토 TF1호의 경우 국제 다단계 사기에 휘말리면서 문제를 더욱 키웠다.
이들 펀드를 가입한 투자자들은 은행에서 사모펀드라는 사실을 모르고 가입했거나, 원금 손실에 대한 안내를 전혀 받지 못한 채 가입했다고 주장하고 있어 DLF 사태 때처럼 불완전판매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단순한 불완전판매를 넘어서 수익률 조작과 폰지사기(다단계 금융사기) 등 불법적 요소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은행들은 라임 사모펀드에 불법적인 요인이 있었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대리 판매했을 뿐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내노라 하는 금융사에서 문제가 된 펀드를 판매한 점에서 책임론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특히나 은행권은 최근 불완전판매에 대한 악재가 겹치면서 좌불안석이다. 대규모 원금손실을 냈던 DLF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이 은행의 경영진에 대한 강도 높은 징계를 예고한 상태다. 여기다 지난 2008년 외환파생상품 키코(KIKO)에 대한 분쟁 조정안을 두고서도 속을 앓고 있다.
무엇보다 신뢰가 생명인 은행에서 불완전판매 논란이 연달아 터지면서 금융권에 대한 고객들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는 점도 가볍게 볼 수 없다는 지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을 믿고 해당상품에 가입했던 고객들에 대한 공분이 거세다”며 “특히나 국내에서도 손꼽히는 증권사와 시중은행에서 불완전판매를 넘어서 폰지 사기형태를 띠고 있어 이로 인해 금융시장 전체가 위축될 우려가 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