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각국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가 늘어나면서 글로벌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규모 확대가 점쳐지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화재원인 규명이 늦어지면서 배터리 제조사들의 수출을 저해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ESS 설치용량은 2018년 12GWh에서 2024년 158GWh로 13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미국·중국·일본·호주 등이 이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경우 세계 5위에 이름을 올릴 것으로 예측됐으나, 화재에 따른 신뢰도 문제에 부딪히면서 오히려 시장규모가 2018년 5.6GWh에서 지난해 3.7GWh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부터 발생한 ESS 화재는 총 28건으로, 이 중 재생에너지 연계용이 22건으로 집계됐다. 피크제어와 주파수 조정은 각각 4건, 2건이었다. 제조사별로는 LG화학이 1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삼성SDI가 10건으로 뒤를 이었다.
거창 풍력발전 ESS에서 불길이 치솟고 있다./사진=경남소방본부
이같은 문제가 벌어진 원인으로는 문재인 정부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설비 구축이 급격히 늘어나는 과정에서 일몰 방식의 지원정책을 폈던 것이 꼽힌다.
대용량 배터리 설비 구축 트렉레코드 및 유통관리 시스템 등 기술적인 준비와 확인 과정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해진 기간 내 ESS를 설치해야 한시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을 채택한 탓에 사업자들이 설계·시공·설치를 서둘러 진행하면서 공사품질이 하락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월부터 6월까지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를 운영하고 조사결과 및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했으나, 이후 5건의 화재가 추가로 발생하면서 근본적인 해결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15일에도 2차 조사단이 회의를 개최하면서 원인을 밝혀낸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불거졌으나, 산업부는 해명자료를 통해 "이번 회의는 최종회의가 아니며, 결론 도출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조속히 완료하고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일축했다.
2019년 6월1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김정훈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장이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현대경제연구원은 보고서(국내 ESS 산업 생태계의 위기)를 통해 "1차 조사위원회의 결과 발표는 안전성에 대한 국민불안을 해소하지 못했으며, 후속 대책도 단편적이고 일관성이 부족해 시장 참여자들이 신뢰를 회복하기 미흡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감축운전 권고를 따르지 않는 기업들은 목표수익을 달성하는 반면, 70% 감축운전 이행시 손실을 떠안아야 하는 모순적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산업부와 한국전력공사의 방침이 엇갈리는 등 정책 불확실성도 가중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시공업체들의 경우 일감 감소에 따라 매출이 급감하면서 도산 위기에 직면했으며, 국내 배터리 평판 하락으로 태동기 산업의 조기 쇠퇴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특히 "신규 사업에 대한 투자도 '0'에 가까운 수준으로 하락하고 있다"면서 "전세계적으로 ESS용 배터리 및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한국의 ESS 화재는 배터리 제조사 수출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