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세계 곳곳에서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방식에 외신이 주목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한국과 이탈리아의 대응방식을 비교하며 한국이 효율적인 방역을 전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 1월 말 첫 확진자가 나온 후 이탈리아는 북부, 한국은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됐다. 이탈리아는 초반 광범위한 검사를 시행했지만, 이후 유증상 의심자로 검사 대상을 좁혔다.
또 지난달 22일에는 북부 11개 지역 주민 이동제한령을 내린 데 이어 지난 10일 이동제한령을 전국으로 확대한 바 있다. 11일에는 모든 상점에도 휴업령을 내리는 등 전례 없이 강력한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영국의 로이터, 미국의 워싱턴 포스트 등 회신들이 잇따라 한국의 코로나 19 대응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자료사진) / 사진 = 연합뉴스
반면 한국은 특정 지역을 폐쇄하는 강제적 조치 대신 전방위 추적 검사에 집중했다. 바이러스 감염 의심자를 적극적으로 추적해 하루 평균 1만 2000여건의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환자와 의료진간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에 탑승한 채 검사를 받는 '드라이브 스루' 검사시설도 전국 50여곳에 설치했다.
로이터는 두 사례를 비교 분석하면서 "한국이 이탈리아보다 누적 확진자가 적다. 공격적인 검사가 바이러스와 싸우는 강력한 수단이라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특정 지역을 폐쇄하는 강제적 조치보다 전방위 추적 검사에 집중하면서 감염자를 조기 발견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워싱턴포스트(WP)도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체제에 주목했다. 칼럼니스트 조쉬 로긴은 11일 WP의 기고에서 "민주주의의 강점을 활용하는 것이 공중 보건 보호에 더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로긴은 "한국 시민사회도 주요행사를 취소하고 교회 예배를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등 자발적으로 협력하고 있다"며 "도시 전체를 감옥으로 만들지 않으면서 거리두기에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BBC는 "한국은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로 36명이 사망한 이후 전염병에 대한 접근을 달리 시작했다"고 평가하면서 "한국의 질병관리센터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특별 부서를 세웠다"고 말했다.
또 한국이 짧은 시간에 검사를 늘리고 전방위적 조치를 취할 수 있었던 이유로 '빨리빨리 유전자'를 소개하기도 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