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문상진 기자]오늘의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나라는 망치는 리더십은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다. 자기 연민과 자기 긍정으로 정신 승리를 외치는 한 갈등은 사그러 들지 않는다. 한 쪽만 보고 달리는 외바퀴 정책은 결국 실패로 귀결된다. 리더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까닭이다.
역사 속 인물은 흔히 현재의 필요에 의해 상징으로 소환되지만, 한국 근대사에서 고종만큼 상징적인 인물은 찾기 어렵다. 역사를 해석하는 관점은 곧 현재를 이해하고 이끌어가는 동력이 된다. 고종의 통치를 어떻게 바라보느냐 하는 물음이 결국 오늘날 대한민국의 향배를 어디로 정하는가와 결부된 것도 그 때문이다.
저자 김용삼이 쓴 '지금, 천천히 고종을 읽는 이유'는 구한말 조선과 21세기의 대한민국이 처한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절박함에서 집필되었다. 그동안 많은 학자들이 민족주의적인 희망으로 고종을 항일·자주·근대화의 상징으로 떠받들어온 것에 맞서서, 실제 역사를 낱낱이 밝힌 뒤 현재 대한민국의 오류를 짚어내고자 하는 의지가 이 책에 담겨 있다.
저자에 따르면 고종은 시대를 읽지 못하고 고립을 자초한 지도자다. 저자 김용삼은 방대한 사료를 참고하여 자국 역사에 관한 한국인의 통념을 혁파해 나간다. 고종이 주체적인 근대화를 이룩하려던 찰나 외세의 침략을 당해 개혁이 좌초되었다거나, 조선통신사가 일본에 문명을 전파해주었다는 등의 '역사적 오류'를 짚어내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이 책의 주요 비판 지점이 되는 것은 바로 고종의 '반시대적 행보'다. 고종은 근대가 발아하고 제국주의가 팽창하던 시대에 조선의 이른바 '존명의리' 사고방식에서 그다지 벗어나지 못한 군주였다. 스스로 근대화를 이룩할 줄은 모른 채 개화파를 탄압했으며, 의지할 만한 국가를 찾아 헤매다 결국 러시아와 밀약을 시도하기에 이른다. 그 결과 영·미·일 해양세력을 적으로 돌리는 패착에 빠지게 된다.
그렇다면 오늘날 대한민국은 대한제국과 얼마나 달라졌는가? 저자 김용삼은 오랜 기자 생활로 다져진 현실감각과 역사 저술가로서의 안목으로 현재 우리의 위기를 진단한다. 문재인 정부는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가장 노골적인 반미·반일 성향을 보이며, 그러한 이념적 지향성을 애써 숨기려 하지도 않는다. 결국 중국과 러시아, 북한과는 우호적인 관계를 설립하는 반면 한·미·일 공조는 흩뜨리는 결과를 낳고 있다.
조선 멸망 원인을 외세의 침략이나 냉전체제 따위에서만 찾아왔던 우리의 통념이 문제시된다. 조선의 망국에서 우리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교훈은 세계 주류 질서를 무시하고 '폐국'의 길을 택한 국가 지도부의 무능한 외교가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 책임은 언제나 아래로 향했고, 백성, 즉 국민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되는 비극이 이어져 왔다. 엄중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아야 한다고 우리의 근대사는 분명히 경고하고 있다.
300년 정지된 조선의 '역사 시계'가 부른 아픈 역사를 지금 되풀이 하고 있다. 당시 대한제국의 운명을 바꾼 것은 과연 무엇일까? 무능한 군주가 불러온 역사의 멸망, 과연 을사오적만으로 인해 대한민국은 망했을까?
저자는 '평화로운 조선에 외세가 침략한 것이 문제의 원인이다'라는 주장이 얼마나 비현실적인지를 짚는다. 영·미·일 해양세력이 세계의 주류로 떠오르고 국력을 기반으로 한 국제 질서가 확립되던 시기, 목숨을 의탁할 나라를 찾아다닌 고종은 조선을 폐망으로 이끈 장본인이었다. 이 같은 외교 실패의 역사를 직시하고 '남 탓'만 일삼는 버릇을 고쳐야 오늘날 대한민국은 올바른 길을 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한다.
저자는 말한다. 문재인 정부가 중인환시(衆人環視)리에 벌이고 있는 한·미·일 해양동맹에서의 이탈 및 중국·북한 추종외교는 선조(임진왜란), 인조(정묘·병자호란), 고종(대한제국 패망)의 뒤를 잇는 자멸 외교의 제4탄에 해당한다. 그것은 루쉰의 소설 주인공 아Q가 말한 '정신승리법' 외교의 완벽한 부활이다.
문재인 정부는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가장 노골적인 반미·반일 성향을 보이며, 그러한 이념적 지향성을 애써 숨기려 하지도 않는다고 말한다. 결국 중국과 러시아, 북한과는 우호적인 관계를 설립하는 반면 한·미·일 공조는 흩뜨리는 결과를 낳고 있다. 조선의 망국에서 우리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교훈은 세계 주류 질서를 무시하고 '폐국'의 길을 택한 국가 지도부의 무능한 외교가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 책임은 언제나 아래로 향했다. 결국 국민이 가장 큰 피해자가 되는 비극이 이어져 왔다. 엄중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아야 한다고 우리의 근대사는 분명히 경고하고 있다. 역사는 기억이자 기록이다. 영원한 약자도 영원한 강자도 없는 것이 역사다. 위정자는 비겁하지 않고 솔직해야 한다. 조선의 이야기와 별반 다르지 않는 오늘의 대한민국에 대한 저자의 경고다.
[미디어펜=문상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