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1세기 창조경제 시대를 맞아 우리 교육도 새로운 변화와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산 체험 없이 암기 위주의 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적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시대 변화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박 대통령은 4일 오전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한국-세계은행 교육혁신 심포지엄'에 참석해 축사를 통해 "지금은 단순히 누가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보다는 누가 더 창의성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도전적인 자세로 혁신을 이끌어내는지에 개인과 국가의 미래가 좌우되는 시대"라며 이같이 밝혔다.
▲ 박근혜 대통령이 4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한국-세계은행 교육혁신 심포지엄 개회식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뉴시스 |
아울러 박 대통령은 한국의 교육에 대해 "한국은 전쟁의 폐허 속에 먹고 살기조차 어려운 상황에서도 부모들이 자녀 교육만큼은 포기하지 않았다"며 "그 결과 한국의 교육정책은 경제정책과 조화를 이루면서 국가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됐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교육을 통해 성장한 인재들은 사회 각 분야에 진출해서 나라를 발전시키는 핵심 동력이 됐고 국가발전은 다시 교육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이어왔다"며 "열정과 창의적 아이디어로 세계적 수준에 올라선 한국의 IT 기술이 다시 학교에 활용돼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소개했다.
한국교육개발원과 세계은행이 주최한 이날 심포지엄은 김용 세계은행 총재를 비롯해 국내·외 교육·경제분야 전문가 등을 포함해 300여명이 참석했다. [미디어펜=문상진 기자]
한국-세계은행 교육 혁신 심포지엄 대통령 말씀
오늘 행사 참석을 위해 먼 길을 와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그 동안 행사를 준비하기 위해 노력해 오신 저와 김용 총재님은 지난 해 12월 한국에서 만났을 때, 오늘 이 자리는 그러한 공감을 바탕으로, 세계은행과 한국의 연구기관들이 지혜를 모아, 한국이 국제기구의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한국은 전쟁의 폐허 속에 먹고 살기조차 어려운 상황에서도 정부에서도 1950년대부터 ‘초등교육 의무화’를 시행하여 한정된 정부예산 속에서도 교육비 비중을 늘려왔던 것입니다. 그 결과 한국의 교육정책은 경제정책과 조화를 이루면서 현재 한국 대부분의 아동은 초·중등 교육을 이수하고 있고, 교육을 통해 성장한 인재들은 사회 각 분야에 진출해서 열정과 창의적 아이디어로 세계적 수준에 올라선 한국의 IT 기술이 하지만, 21세기 창조경제 시대를 맞아 현재 우리 학생들은 과도한 교육열과 입시 경쟁으로 산 체험 없이 암기 위주의 교육 프로그램은 지금은 단순히 누가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보다는 그렇기 때문에 창조경제의 성공은 저는 우리 교육이 혁신을 이루어낼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개개인의 잠재된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려서 현재 한국 정부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모든 학생들이 개개인의 꿈과 끼에 맞는 교육을 받아 단순한 지식과 기술 습득이 아니라 교육은 한국이 시행하고 있는 개발도상국 원조 프로그램의 현재 한국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또한 지난 8월 유엔의 내년 5월에는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우리는 과거의 성공 경험을 다른 나라와 공유할 뿐만 아니라 그 동안 축적해온 교육의 노하우에 선진국의 우수 사례를 접목하고, 오늘 이 자리가 교육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꿈꾸고, 오늘 심포지엄을 준비해 주신 관계자 여러분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