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왜곡된 경제성평가를 근거로 월성 원전 1호기를 조기폐쇄한 것은 공기업의 본분을 망각한 행위로,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수력원자력의 부담이 가중돼 전기요금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장창희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지난 12일 유튜브 '핵공감 클라쓰'에서 "월성 1호기가 생산하던 전기를 액화천연가스(LNG)·태양광·풍력 등 경제성이 더욱 떨어지는 발전소가 대체해야 되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실제로 7월 한전 전력통계속보에 따르면 올 1~7월 원자력의 구입단가는 kWh당 59.13원으로 가장 낮았다. 반면, LNG복합은 111.3원, 신재생도 89.44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태양광과 풍력/연료전지는 각각 88.26원·81.22원으로 나타났다.
장 교수는 "2018~2022년 월성 1호기의 가동률을 80% 기준으로 하면 연간 46억kWh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데, 이를 LNG로 대체하면 5년간 1조3800억원의 추가 비용이 필요하다"면서 "보조금을 계산에 포함시킬 경우 태양광은 이 수치가 2조7600억원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최근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17년 발전단가와 판매단가를 근거로 '월성 1호기가 이용률 95.8%에도 840억원의 적자가 난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정산단가는 발전원가가 오를때 함께 높아지기 때문에 낮을 수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한 "우리나라는 각 발전원별 원가를 보장하는 정책을 시행하기 때문에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라며 "양이 의원의 주장대로 하면 보조금을 제외해도 원자력보다 비싼 이들 발전소를 건설할 이유가 없다"고 덧붙였다.
장 교수는 월성 1호기의 경제성이 2018년 3월 한수원 자체평가에서는 3707억원으로 나왔다가 3개월 만에 224억원으로 떨어진 것도 가동률을 낮게 잡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2015~2017 가동률 63.3%는 2017년 5월28일 종료 이후 재가동하지 않았던 것을 연간으로 계산한 탓으로, 정상적인 운전을 했다면 3년간 실제 가동률이 76.8%까지 나올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월성 1호기와 유사한 시기에 건설된 원전 중 비슷한 시기에 설비를 교체한 pt. 르푸르(캐나다)의 가동률은 80.8% 수준이고, 아르헨티나 엠발스 원전도 2015~2018년 설비를 교체하고 지난해 가동률 71.1%를 기록했다"고 부연했다.
특히 "교체비용도 르푸르와 엠발스는 2조원 이상이 들어간 반면, 월성 1호기는 6000~7000억원 수준"이라면서 "평상시 유지보수를 잘하면 교체 비용도 적게 들어간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도 "한수원 이사회는 월성 1호기의 경제성이 없다고 하지만, 한전은 한수원에게 적자 전기 납품을 강요해 죽일 동기가 없다"는 내용의 글을 SNS에 올렸다.
정 교수는 "동일 제품을 60원에 납품하는 회사를 죽이고 120원에 납품하는 타회사를 살려서 볼 이득이 없다"면서 "경제성 때문이라면 월성 1호기가 아니라 다른 발전소를 버렸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