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한진 기자]코로나19로 촉발된 고용시장의 위기감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국민과 기업 모두 고용에 대한 불안과 부담을 토로하는 상황이다. 규제 장벽을 낮춰 고용시장의 활기를 불어넣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22일 한국경제연구원의 ‘일자리 전망 국민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7.3%는 올해 고용상황이 코로나19 이전(2019년)과 비교해 악화될 것이라 응답했다.
지난달 경기도 수원시청에서 열린 '2021 희망 일터 구인·구직의 날' 행사에서 구직자들이 면접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20대 응답자의 경우 올해 고용상황이 ‘매우 악화 될 것’이란 전망이 과반(53.2%)이었고 ‘매우 개선될 것’이란 응답은 제로(0%)로 나타나, 청년층이 가장 암울하게 내다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앞으로 가장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반도체(21.4%)였다. 바이오 등 신사업(20.6%)이 바로 뒤를 이어 신사업이 가져다 줄 고용 효과에 대한 기대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숙박·음식점업(22.5%)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계·선박·철강(17.4%), 건설(14.5%)이 뒤를 이었다. 일반 국민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앞두고 있지만 대면서비스업에 대한 고용 악화 우려는 여전히 큰 상황이다.
고용상황이 악화될 주된 원인은 코로나19 지속(45.3%)이 첫 번째로 꼽혔다. 이어 국회·정부의 기업규제 강화(26.3%), 정부의 친노조정책(10.7%), 기업경영실적 부진(10.5%), 신성장동력산업 부재(7.2%) 순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고용여건을 개선시키기 위한 과제로는 기업규제완화(24.9%)가 첫 번째로 지목됐고, 근로형태 다양화 등 고용시장 유연화(21.9%)가 두 번째 중요한 과제로 꼽혔다.
고용만큼 급여에 대한 전망도 부정적이었다. 10명 중 약 7명(68.9%)은 물가 대비 월급이 오르지 않을 것이라 응답했다. 향후 소득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에 대한 질문에는 △주식·부동산 등 재테크(32.9%) △업무역량강화 및 승진(14.9%), △창업(9.1%) △이직(7.8%) 순으로 응답하였고, △기타 응답이 35.3%였다.
한편 기업들도 고용에 대한 부담이 점차 가중되는 모습이다. 이달 초 한 조사를 살펴보면 대기업 열 곳 중 여섯 곳(63.6%)은 올해 상반기 중 한 명도 채용하지 않거나 아직 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다. 신규채용 ‘0’인 기업 비중은 17.3%, 채용계획 미수립 기업 비중은 46.3%이다.
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부진(51.1%) △고용경직성(12.8%) △필요직무 적합 인재 확보 곤란(10.6%)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부담 증가(8.5%) 순으로 답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 완화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고용상황을 여전히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경제의 성장 활력이 많이 약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국민들의 기대를 반영하여 일자리 창출을 막고 있는 규제를 완화하고 기득권의 진입장벽을 낮춘 고용시장 조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