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거세진 ESG 열풍…개념과 평가방식 수립 과제로

2021-04-05 11:33 | 조한진 기자 | hjc@mediapen.com
[미디어펜=조한진 기자]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주요 기업들의 핵심 경영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모호한 개념과 평가방식 등으로 ESG 경영 전략 수립에 애를 먹는 기업이 적지 않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5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ESG 준비실태 및 인식조사'에 따르면 ESG에 대한 최고경영진의 관심도는 66.3%(매우 높다 36.6%, 다소 높다 29.7%)에 달했다.

서울 중구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도심 /사진=연합뉴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제품, 철강, 반도체, 일반기계·선박, 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 건설, 숙박·음식업 등에서 ESG 경영에 집중하고 있었다.

그러나 ESG 경영전략 수입에서는 ‘모호성’이 문제로 지적됐다. 기업들은 ESG에 대한 애로 요인으로 ‘ESG의 모호한 범위와 개념’(29.7%)을 첫손에 꼽았다. 이밖에 자사 사업과 낮은 연관성(19.8%), 기관마다 다른 ESG 평가방식(17.8%), 추가비용 초래(17.8%), 지나치게 빠른 ESG 규제도입 속도(11.9%) 등이 지적됐다.

ESG 경영의 구체적인 연간목표 수립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31.7%가 '수립했다', 39.6%는 '수립계획이 있다'고 응답해 열 곳 중 일곱 곳이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했거나 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ESG 위원회 설치 여부에 대해서는 45.5%가 설치(17.8%)했거나 할 예정(27.7%)이라고 답했다. 위원회 구성원의 경력은 전직 기업인(24.1%), 회계 전문가(20.7%), 교수(13.8%), 전직 관료(6.9%) 순이었다.

별도 ESG 전담조직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절반가량인 53.5%가 이미 마련(23.8%)했거나 마련할 계획이 있다(29.7%)고 답했다. 다만 관련 전문인력 채용계획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8.9%만 채용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ESG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기업들은 이미지 제고를 가장 크게 생각하고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기업 이미지 제고 목적' 43.2%, '국내외 수익에 직결되기 때문' 20.8%, 'ESG 규제부담 때문' 18.0%, '투자자 관리(개인‧기관)를 위해' 15.3% 순이었다.

ESG에 따른 매출액 증감 전망치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차이 없다'는 응답이 33.7%, '0~5% 증가' 25.7%, '5%~10% 증가' 17.9% 순으로 응답해 기업 열 곳 중 네 곳 가량은 10% 이내의 매출 증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전경련은 “다만 ESG 경영을 추진하면서 관련 투자 등 추가적인 비용 소요가 불가피한 관계로 수익에 대한 효과는 매출 증대 전망과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회 분야 활동의 주요 대상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소비자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항목별 응답 순서는 소비자(31.7%), 지역사회(19.8%), 근로자(18.8%), 협력사·경쟁사(16.8%), 일반국민(12.9%) 순이었다. 환경 부문의 주요 관심분야는 환경 친화적 생산(26.7%), 기후변화 대응(25.7%), 환경 리스크 관리(21.8%), 환경 친화적 공급망 관리 (16.8%) 순이었다.

정부가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과 관련한 준비에 대해서는 보통이다(37.6%), 비교적 잘 준비됐다(21.8%), 잘 모르겠다(17.8%), 미흡하다(12.9%), 매우 미흡하다(6.9%), 매우 잘 준비됐다(3.0%) 순으로 응답했다. 업종별로 철강, 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는 비교적 잘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나, 석유화학·제품, 숙박·음식업, 일반기계·선박 업종 등에서는 준비가 미흡한 편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탄소중립 준비 사업으로는 대기오염물질 저감설비 및 관리시스템 개발(31.7%), 재생에너지 전환 투자(15.8%),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연료전환(12.9%), 전기배터리 소재 투자(7.9%) 등을 꼽았다.

재계 관계자는 “ESG 경영이 정착하는 과정에서 다소 혼선이 빚어질 수 있다”며 “그러나 글로벌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제 필수 조건이 된 만큼 기업들은 앞으로 ESG에 더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