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대한상공회의소가 '제3차 미래산업포럼'을 개최하고 석유화학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과 탄소중립 대응력을 점검했다.
대한상의는 평가 대상 8개 업종 중 석화는 디지털 전환 5위, 탄소중립 6위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15일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의회관에서 열린 '제3차 미래산업 포럼’에서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왼쪽에서 3번째)이 발언하고 있다./사진=대한상공회의소
최용호 딜로이트컨설팅 상무는 "석유화학산업은 한 세기 넘게 촉매기술 개발이 품질·수율·생산성 등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였다"며 "촉매기술 외 영역에서는 별다른 혁신의 필요성이 없었던 것이 디지털 성숙도가 부진한 결과로 이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용제품 위주로 생산하고, 유통채널도 B2B 비중이 높았던 만큼 품질개선과 고객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빅데이터 활용의 필요성이 적었다"면서 △공급망 통합관리 및 자동화 △현장관리 △생산 최적화를 통한 수율 극대화 등 3대 분야에서 7개 디지털 전환 전략 과제를 주문했다.
정은미 산업연구원(KIET) 본부장은 "납사원료에서 직접배출 되는 온실가스가 전체의 64%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를 대체하는 것이 탄소중립 대응의 핵심"이라고 설파했다.
이어 "수소·바이오 등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비용과 기술개발과 같은 현실적 문제들이 산적해 있는 상황"이라며 "체원료 개발을 위한 R&D에 더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왼쪽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LG화학 대산공장·롯데케미칼 울산공장·금호석유화학 고무공장·한화솔루션 케미칼부문 울산공장 전경/사진=각 사
장석인 산업기술대 석좌교수는 "최근 화학산업의 경우 친환경 화학제품을 비롯해 고부가가치 정밀화학으로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하고 있어 환경규제도 그에 맞춰 개선돼야 한다"면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대형 정유 및 석유화학 설비의 검사주기를 법으로 규정하지 않고 사업장의 자체적인 절차에 따라 검사·유지보수 주기를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유종 한국석유화학협회 상근부회장은 "업계도 디지털 전환 비전을 수립하고 R&D·구매·밸류체인 전반에서 디지털 기술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며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원료·연료 및 관련 설비를 모두 교체해야 한다는 점에서 정부도 금융·세제 지원을 획기적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업계는 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한 제도 마련, 화이트바이오산업 및 석유화학 공정기술 분야 인력 양성 지원, 납사 탄력관세 영세율 적용,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개선, 중대재해처벌법 수위 및 책임범위 완화 등도 건의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석유화학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은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는 수준으로 난이도가 매우 높다"면서 "어렵지만 피할 수 없는 과제인 만큼 기업과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 미래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