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재계, ESG경영 저평가..."벤치마크 지표 정해야"

2021-04-26 11:25 | 조한진 기자 | hjc@mediapen.com
[미디어펜=조한진 기자]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기업의 경쟁력으로 연결되는 가운데 평가기관별로 다른 등급이 매겨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평가를 막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각자 ESG를 추구하는 현실적 목표에 맞춰 벤치마크 지표 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의 '국내외 ESG 평가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내외 주요 ESG 평가기관간 평가등급 격차가 총 7단계 중 최대 5단계까지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LS일렉트릭이 구축한 94MW급 영암태양광발전소 /사진=LS 제공


전경련이 매출액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국내외 ESG 평가기관의 ESG 등급을 확인한 결과, 세 개 기관 모두 등급(점수)을 제공하는 55개 기업의 평균 등급격차는 1.4단계였다. 3단계 이상 차이가 나는 기업은 22개로 전체의 40%를 차지했다.

전경련이 비교한 평가기관은 MSCI(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 레피니티브(구 톰슨로이터), 기업지배구조원(KCGS) 등 세 곳이다.

글로벌기업에 대한 평가결과도 차이가 컸다. 블랙록의 ESG ETF(상장지수펀드)를 구성하는 217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MSCI·레피니티브의 평균 등급차는 1.0단계였다. 3단계 이상 차를 보이는 기업은 17개, 2단계 차는 28사였다. 한편 블랙록 ESG ETF 구성기업의 MSCI 등급 평균은 A(2020년말 기준)였다.

기관마다 평가 결과가 상이한 이유를 평가항목·기준 등이 상이하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특히 분야별 평가 카테고리를 보면 체계, 내용 등에 있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환경(E)평가만 봐도 체계가 다르다. MSCI의 평가 카테고리는 '기후변화, 천연자원, 오염·폐기물, 환경적 기회'였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은 '환경전략, 환경조직, 환경경영, 환경성과, 이해관계자 대응'으로 구성돼 있다. 레피니티브는 '자원사용, 배출, 제품혁신'이었다.

보고서는 "가점과 감점(부정적 이슈 발생) 방식을 적용하는 틀은 유사하지만 세부적인 점수 산정, 가중치 부여 등에서 차이가 발생한다"며 "해외 ESG 평가기관의 경우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있다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각 기관이 ESG 평가결과를 제공하거나 활용하는 곳 등에 차이가 있는 만큼 각 기업이 왜 ESG를 추구하는지, 투자 유치인지, 연기금 대응인지 등 구체적인 방향을 정해 벤치마크지표를 정해야 한다"고 했다.

또 기업들이 ESG를 막연한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CSV(기업의 공유가치 창출)활동과 혼동해서는 곤란하며 구체적으로 지속가능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경영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한국기업에 대한 피드백이나 커뮤니케이션 없이 공개되는 데이터 등에만 의존해 등급이 산정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며 "전경련같은 제3의 기관이 IR차원에서 기업의 ESG 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글로벌 평가기관 등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