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정부, ‘K-반도체’에 이은 ‘K-배터리’ 전략 발표

2021-07-08 17:15 | 구태경 차장 | roy1129@mediapen.com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정부가 반도체에 이어, 이차전지 산업에 전방위적 지원을 약속했다. 

정부는 8일 충북 오창에 위치한 LG에너지솔루션 제2공장에서, 기업·대학·은행·유관기관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30 이차전지 산업 발전 전략(K-배터리)’을 발표했다.

'인터배터리 2021' 내 SK이노베이션 부스./사진=SK이노베이션



현재 한국 배터리 산업은 소형 배터리 분야에서 10년째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중대형 배터리 역시 경쟁국과 1~2위를 다투는 수준이나,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산업 전 분야에서 이차전지 수요가 급격히 늘면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차전지 산업의 급격한 성장이 전망되는 가운데, 미국·유럽·중국·일본 등 주요국들은 제조기반 구축, 배터리 기술 및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차전지 및 핵심소재부품 글로벌 시장점유율./그래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에 정부는 향후 5년이 세계 이차전지 시장에서 각 국의 위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보고, 배터리 총력전에 돌입하기 위한 민관협력 기반의 종합 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날 정부와 국내 배터리 산업을 구성하는 주요 주체들은 ▲차세대배터리 기술개발 ▲이차전지 연구개발(R&D) 혁신펀드 신설 ▲사용 후 배터리 활용협의체 구성 등, 3건의 업무협약(MOU)을 동시에 체결했다.

K-배터리 전략은 이차전지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와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2030년까지 40조원 이상을 투자하고, 정부는 연구개발(R&D)·세제금융 등을 지원해, 글로벌 이차전지 R&D 허브, 선도제조기지(Mother Factory), 핵심 소재.부품.장비 공급기지로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 리튬이온배터리 고도화를 위한 R&D 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각종 세제·금융·인프라·인력양성 등 전방위 지원 확대로, 이차전지 생태계·공급망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사용후 이차전지 활용계획./사진=산업부 제공



이와 함께, 사용 후 배터리, 배터리 대여·교체서비스 등, 배터리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요 산업군을 발굴·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전지3사와 정부 등이 출연해, 800억 원 규모의 혁신펀드를 조성하고, 국가전략기술지정을 통한 세액공제, 지난달 23일 개정된 '해외진출기업의 국내 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유턴법) 상 인센티브를 지원하며, 배터리 분야의 전문 인력 및 기초·응용·특화 인력 등 연간 1100명 이상의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전략이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반도체가 머리라면, 배터리는 심장”이라면서 “전지산업은 전동화, 무선화, 친환경화 등 산업의 미래 트렌드를 이끄는 핵심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반도체에 버금가는 또 하나의 주력산업으로 키워 가기 위해, 정부가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의지를 밝혔다. 

앞서, 산업부 관계자는 일본이 전고체 배터리 특허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국내 자체 개발에 난점이 있지 않겠냐는 우려에 대해 “현재 전고체 배터리는 다양한 개발 가능성을 갖고 있고, 일본은 산화물계에 주로 특허를 갖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전해액이나 분리막 분야, 또는 기타 다른 분야의 개발 여지는 충분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각 대학연구기관 등에서 연구개발은 했으나 실험 및 실증 단계에 이르지 못했던 배터리 관련 성과들을 시험해보고 상용화 평가까지 이뤄질 수 있는 공용 테스트 공간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5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변혜령·김우연 교수 공동연구팀은 삼성전자 등의 지원으로, 기존의 무기 리튬 전지가 아닌, 유기 분자를 이용한 리튬-유기 하이브리드 전지 개발에 성공한 바 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