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한진 기자]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기업의 미래 경쟁력으로 부상하면서 관련 투자가 늘어나고 있다. 재계에서는 ESG 경영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수익 모델 확보와 자율성 기반의 지원정책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31일 재계에 따르면 ESG를 투자 지표로 활용하는 글로벌 투자 금액이 2014년 21조4000만달러에서 지난해 40조5000만달러로 증가했다.
전남 여수시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 하얀 수증기가 올라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ESG는 기업, 금융, 투자자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제 ESG는 더 이상 기업의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투자기관들도 ESG를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 지난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투자 최우선 순위를 ESG로 발표했고, 국민연금도 2022년까지 전체 운용 자산의 절반을 ESG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국내기업들은 ESG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하고 이사회 의장과 대표를 분리하는 등 이사회의 독립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고 있다. 또 ESG 경영을 위한 컨트롤 타워를 신설하면서 효율성 극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ESG 경영에 대한 노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수익 확보 모델을 동시에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재계에서 나온다. ESG가 새로운 기업 경영방침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지만, 기업의 수익성 확대로 연결될지 아직 미지수라는 이유다.
여기에 ESG를 규제 관점에서 접근하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고개를 들고 있다.
최근 정부는 기업지배구조 관련 투자자 정보 제공을 확대하고 시장을 통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자율적으로 작성하고 공시하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는 것으로, 2025년부터 2030년까지는 자산 2조원 이상, 2030년 이후에는 전 코스피 상장사를 대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재계에서는 국내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제의 질적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ESG 경영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ESG가 자본시장에서 자율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장려돼야한다”며 “정부의 압력이나 규제 관점으로 추진되면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고 했다.
한편 탄소중립 등 ESG투자 촉진을 위해 세액공제 확대 등 제도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날 K-ESG 얼라이언스 회원사를 대상으로 ESG 친환경 투자 촉진 의견을 수렴한 제도개선과제를 규제개혁위원회 등에 건의했다.
이번 건의과제는 △탄소중립기술 등 세제지원 확대 △바이오항공유 공급자·사용자 인센티브 마련, △수소경제법 적용대상에 수소연소발전사업 포함 △화이트바이오 소재 신규물질 등록 간소화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인증(EL724)요건 완화 △전분 플라스틱에 대한 바이오 플라스틱 인증 (EL727)허용 등 총 6건이다.
탄소중립 이행 촉진을 위한 기술개발·투자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투자세액공제 확대 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제도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이 재계의 주장이다.
핵심전략기술 지원 등에 관한 조세특례제한법이 9월 중 정기국회 제출 예정인 가운데, 이 법안은 ‘탄소중립, 바이오 기술’을 반도체 등 핵심전략기술보다 지원수준이 한 단계 낮은 신성장‧원천기술로 분류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경련은 “우리나라 탄소중립산업은 초기단계로 관련기술의 경제성이 아직 낮고, 밸류체인 형성에 대한 전망도 불확실해 기업이 투자에 적극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지원 등 수준을 대폭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