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정부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 및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개발 및 실증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0일 세종시 나성동 소재 르호봇 대회의실에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예비타당성 면제사업 기획 총괄위원회 1차 회의’를 개최했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20일 세종시 나성동 소재 르호봇 대회의실에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예비타당성 면제사업 기획 총괄위원회 1차 회의’를 개최하고 실증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사진=산업부
앞서 정부는 지난 6월 15일 ‘CCU 기술혁신 추진전략’을 수립하면서 2030년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14개 CCU 제품 후보군을 도출하고, 중점투자가 필요한 59개 기술을 선정했으며 기술 고도화 및 실증을 위한 대규모 CCU 예타 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이번 ’3050 CCU 기술개발 및 통합실증‘ 사업은 과기정통부와 산업부가 공동 기획으로 CCU 원천 기술 및 초기 단계의 실증 기술을 기업 현장에 적용하고 확산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된다.
CCU 로드맵에서 도출된 중점 제품과 기술군을 이산화탄소(CO2) 활용 규모, 기술개발 및 상용화 수준에 따라 3개의 트랙으로 구분, 실증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주관기관인 한국연구재단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동 예타사업 기획에 다양한 기술수요를 반영하기 위한 온라인 조사를 12월 30일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며, 기술개발 수요가 있는 기업·연구자는 주관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자유롭게 기술수요를 제안할 수 있다.
동 사업의 기획을 위한 총괄위원회는 이날 착수회의에서 기업 수요조사 결과 및 예타 기획방향 공유 등을 시작으로, 상세기획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부처 협력을 기반으로 내년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을 거쳐, 오는 2024년 착수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CCU 기술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려면 기업 수요가 가장 중요하다”라며 “정부 투자가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천영길 산업부 에너지전환정책관은 “기술을 넘어 CCU를 탄소중립 신산업으로 집중 육성해, 글로벌 기후위기 신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조기상용화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