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금융권 디지털 자산시장 진출 "선택 아닌 필수"

2022-02-22 14:18 | 류준현 기자 | jhryu@mediapen.com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금융권이 가상자산 등 디지털자산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규제의 불확실성과 사업화 이후의 수익성을 우려해 시장 진출을 꺼리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일반 기업들이 디지털자산 가치사슬 체계를 구축하고 있고, 규제환경도 개선 중인 만큼, 금융권이 미래 먹거리 관점에서 이 시장 진출을 서둘러야 한다는 평가다.

22일 김상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하나금융포커스에서 "최근 금융회사의 디지털전환 회의에서 가장 많이 이야기되는 화두 중 하나는 가상자산 등 디지털자산 사업화일 것"이라며 디지털자산 사업화가 금융권의 미래 먹거리임을 시사했다.

금융권이 가상자산 등 디지털자산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규제의 불확실성과 사업화 이후의 수익성을 우려해 시장 진출을 꺼리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사진=미디어펜



금융권의 디지털자산 사업진출은 찬반이 뚜렷이 나뉜다. 찬성 측은 △디지털자산 투자의 보편화 △돈 버는 게임(P2E)·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확산에 다른 디지털자산 활용 폭 확대 △기관투자자 진입에 따른 수익화 가능성 등을 내세우고 있다. 

반대 측은 △불법 행위 활용 △가격 변동에 따른 금융시장 위험 가중 △수익 창출의 어려움 △불명확한 국내 규제 등을 내걸어 사업을 반대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가상자산업권법(업권법)이 국내 금융회사의 업무 참여를 명확화하지 않는 한 논쟁은 지속될 것"이라며 "이러한 사업화 논의는 인터넷전문은행 도입 시점의 금융회사 내 논의와 비슷해 보인다"고 평가했다. 인터넷은행이 국내 도입될 당시 은행권 평가가 엇갈렸기 때문이다. 

인터넷은행의 잠재력을 높게 산 일부 금융회사는 지분 참여를, 나머지는 자체 경쟁력 강화를 택했다. 결론적으로 인터넷은행은 업계의 '메기'가 됐다. 일부 인터넷은행은 주식시장에서 대형 금융지주사보다 높은 시가총액을 형성하는가 하면, 시중은행보다 더 많은 월간 활성 사용자수(MAU)를 기록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관련 규제 및 사업성 등을 이유로 인터넷은행 사업 진출을 보류하다 유행에 뒤쳐졌고, 주도권도 잃어버렸다는 평가다. 

지분 투자에 나선 기업들은 가상자산 거래소 지분 투자 외에도 디지털아트, 콜렉터블, 게임 아이템 등을 통해 NFT를 생성·유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연구위원은 최근 디지털자산 관련 규제환경이 우호적으로 변하는 점도 금융권이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대선에서 여야 후보들은 젊은 층을 공략하기 위해 △투자수익 비과세 △과세 기준범위 확대 △과세 시점 이연 등을 내걸고 있다. 일부 후보는 가상자산업 제도화, 사업 기회 보장 등을 발표했다. 

정책당국도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 개정 이후 디지털자산 시장에 대한 이해의 폭을 제고했다는 후문이다. 

김 연구위원은 "정치권과 정책당국은 디지털자산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동시에 투자자를 보호하면서 시장이 투명하게 운영되기를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국회에서 논의 중인 업권법 제정 등을 통한 제도화가 중요하며, 시장 내 이해관계자의 신뢰가 담보돼야 한다"고 전했다. 

더불어 김 연구위원은 규제환경의 변화, 시장흐름 등을 고려해 금융권이 장기적 관점에서 이 시장에 진출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시장진출 방식은 불분명한 규제를 고려해 '관련 업계와의 제휴'나 일부 지분 투자를 주문했다. 금융회사 업무로 디지털자산의 생성, 운용, 보관 사업을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위원은 "인터넷은행 도입 당시 실기한 금융회사라면 미래의 주요 사업으로 부상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 사업에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고 전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