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이 10.84km, 유역면적 59.83㎢이다. 북악산(北嶽山)·‘인왕산’·‘남산’ 등으로 둘러싸인 서울 분지의 모든 물이 여기에 모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왕십리’ 밖 ‘한양대학교’ 근처에서 ‘중랑천’과 합쳐, 서쪽으로 흐름을 바꿔 ‘한강’으로 합류한다.
본래의 명칭은 개천(開川)이었다.
‘조선왕조’의 한양 정도(漢陽 定都) 당시 청계천은 자연하천 그대로여서, 홍수가 나면 민가가 침수되는 물난리를 일으켰고, 평시에는 오수가 괴어 매우 더러웠다.
이에 제3대 ‘태종’이 개거공사(開渠工事)를 벌여 처음으로 치수사업을 시작했다. 그 후 ‘영조’ 때는 준설·양안석축·유로변경 등 본격적인 개천사업을 시행했다. 이 공사로, 내의 흐름이 비로소 직선화됐다.
이 개천에 놓인 다리는 수표교(水標橋)·‘오간수교’·광교(廣橋)·영미교(永尾橋)·관수교(觀水橋) 등 모두 24개가 있었다. 국권피탈 후 ‘일제강점기’ 초(이때에 청계천으로 이름이 바뀌었다)에는 근대적 도시계획의 성격을 띤, 대대적인 준설공사가 이루어졌다.
광복 후에도 청계천의 유지관리에 힘써 왔고, 1958년 6월부터 복개공사에 착수, 1960년 4월에 1단계로 광교∼주교(舟橋) 1∼4가 간을 완공, 너비 50m의 간선도로를 만들었다. 1967년~1976년 ‘청계고가도로’를 건설, 상류에서 ‘성동구’ ‘사근동’까지 5.4km 구간은 복개됐다.
중랑천(中浪川) 합류 지점까지의 2.4km 구간은 복개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다.
그러다 2003년 7월부터 시작된 서울시의 ‘청계천복원사업’ 구간은 ‘광화문’ ‘동아일보사’ 앞에서 성동구 ‘신답철교’ 구간으로 5.8km에 이른다. 2005년 10월 1일 공사를 마치고. 총 22개의 다리를 중심으로 ‘정조대왕 능행반차도’ 등 역사적 자료를 복원한 도심 속 하천으로 개통했다.
이 사업이 이명박(李明博) 당시 서울시장의 최대 업적으로 평가됐고, 그 여세를 몰아 그는 대통령 자리까지 차지했었다.
청계천의 주요 다리로는 ‘모전교’·광통교(廣通橋)·‘장통교’·‘버들다리’·‘두물다리’ 등이 있다.
'청계천'이 시작되는 '청계광장' 폭포/사진=미디어펜
많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청계천을 만나지만, 최상류인 ‘청계광장’에서 최 하류인 한양대 뒤 중랑천과 만나는 지점까지, 풀코스를 제대로 걸어본 사람은 많지 않다.
돌 벽 사이로 폭이 좁은 물길이 흐르는 상류지역은 비가 많이 오면 금방 물이 불어 위험하므로, 통제된다. 하지만, 하류지역에선 걷기에 큰 문제가 없다. 폭이 넓어, 천변 갈대밭 일부와 징검다리 정도만 잠길 뿐이다.
복원된 청계천은 하류에서 다시 물을 끌어올려, 상류에서 다시 방류한다. 그 양을 조절하면, 하류는 폭우가 와도 물이 급격히 불지 않는다.
청계천은 인공적으로 복원된 천이지만, 하류지역은 시골 자연하천(自然河川) 비슷한 풍경이다.
오늘은 이 청계천을 완주하고, 이어 중랑천 길을 따라가다가 ‘응봉산’ 개나리 천국을 감상하기로 했다.
지하철 1·2호선 ‘시청역’ 4번 출구로 나와, 청계광장(淸溪廣場)에서 트래킹을 시작한다.
하류에서 끌어올린 물이 샘솟아, 폭포수로 흘러내리는 곳이다. 정면에 첫 번째 다리인 모전교가 보인다. 왼쪽 석벽에, 청계천의 어제와 오늘에 대해 설명해주는 글이 새겨져 있다.
이어 조선시대 한양의 지도인 수선전도(首善全圖)와 정조대왕 능행반차도가 펼쳐진다.
정조대왕(正祖大王)은 1795년 윤 2월에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수원’ ‘화성’과 사도세자의 능 현릉원(顯隆園)을 다녀왔는데, 그 전 과정을 ‘원행을묘정리의궤’에 그림으로 생생하게 남겨놓았다.
이 반차도를 신한은행(新韓銀行)이 벽화로 제작, 2005년 1월 서울시에 기증했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은행인 1897년 설립된 한성은행(漢城銀行. 신한은행의 전신)이 인근에 있었음을 기념한 것이다. 한성은행은 광통교 옆, 구 조흥은행(朝興銀行) 본점 자리에 있었다.
광통교는 특기할 만한 다리다.
태종(태종)이 생전 ‘정적’이었던 태조 이성계의 계비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가 묻힌 ‘정릉’의 석물을 뜯어다가 돌다리를 만들었기 때문인데, 지금도 그 부재 일부가 여기 남아있다.
이어 ‘삼일빌딩’ 옆 ‘삼일교’ 밑을 지난다. 서울시와 ‘한화그룹’이 함께 조성한 ‘불꽃길’이다.
문득 석벽 위로,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기념관(全泰壹記念館)이 보인다. 우리나라 노동운동은 전태일 열사의 희생으로 다시 부활했다.
오른쪽 위로는 ‘세운상가’가 보인다.
천변과 돌 벽 사이 좁은 땅에, 온갖 봄꽃들이 가득하다. 개나리, 진달래, 매화(梅畵)는 물론, 봄맞이, 광대나물, 봄까치 등, 자세히 봐야 알아볼 수 있는 ‘초 미니 풀꽃’들도 지천이다.
오른쪽 위로 ‘두산타워’와 ‘호텔 스카이파크’가 있다. 오간수교(五間水橋)를 지나, 평화시장(平化市場)으로 이어진다. 왼쪽은 ‘동대문종합시장’이다.
앞쪽에 ‘영도교’가 보인다.
‘동대문’ 밖 바로 이 곳에서, 강원도 영월로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길을 가는 단종(端宗)과 ‘정순왕후’가 눈물의 이별을 했다고 전해진다.
어느 새 청계천은 훨씬 폭이 넓어졌다. 징검다리가 아닌, 돌다리가 놓였다.
‘황학교’ 밑을 통과했다. 왼쪽에 ‘서울 풍물시장(風物市場)이 있다. 이어 청계천 복원 당시 시민들의 꿈과 소망을 기록한 ’소망의 벽‘이 있다.
왼쪽에서 성북천(城北川)이 합류한다. 북악산 기슭에서 흘러 내려온 물줄기다.
과거 복개천 당시의 삼일고가도로(三一高架道路) 교각이 2개 남아 있다. 어찌 보면 ‘흉물’ 같기도 한 이것들을 굳이 남겨놓은 것은, 자연과 환경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던 ‘막 개발’ 시대의 교훈을 잊지 말자는 뜻이리라.
넓어진 냇물 양쪽을 오가며, 계속 따라간다. 팔 뚝 만한 잉어들이 유유히 헤엄친다.
‘두물다리’ 교각 밑에는 ‘청혼(請婚)의 벽’이 있다. 건너편에서 프로포즈를 하고, 이 쪽에서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며, 두 사람의 이름을 새긴 철판을 달고, ‘남산타워’ 앞처럼 ‘사랑의 자물쇠’도 채워 놓는다. ‘서울시설관리공단’에 신청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고산자교’ 인근 정릉천(貞陵川)이 합류하는 지점을 지난다.
이제 왼쪽은 성동구 왕십리(往十里)다. ‘내부순환도로’ 교각 밑 오른쪽 길 옆에, 돌로 만든 소 한 마리가 정겹다. 건너편에는 ‘버들습지’, ‘신답 빗물펌프장’, 신답철교(新畓鐵橋)가 이어진다. ‘신설동’ 행 지하철 2호선이 지나고 있다.
‘유네스코 지정 글로벌 학습도시 성동’ 빨간 조형물이 예쁘다.
버들강아지, 민들레, 백매, 홍매(紅梅) 등이 앞 다퉈 고운 자태를 뽐낸다. 천변에 특히 매화가 많다. 알고 보니 매화로 유명한 경남 하동에서 기증 받아 조성한 ‘하동(河東) 매실거리’란다.
‘청계천 철새보호구역’ 안내판이 보인다.
고산자교에서 중랑천 합수부 구간은 왜가리, 논병아리, 고방오리, 흰죽지, 청둥오리, 쇠오리, 비오리 등 다양한 철새가 찾아오는, 서울시 철새 보호구역(保護區域)이다.
청계천(왼쪽)이 중랑천(오른쪽)에 합류하는 곳/사진=미디어펜
본격적인 하류지역이다. 상당히 넓어진 하천이 유유히 흐르고, 드넓은 하상부지에는 수양버들이 늘어섰다.
드디어 청계천과 중랑천 합수(合水) 지점이다.
여기도 철새보호구역이다. 제법 넓은 중랑천은 왜가지, 황조롱이, 원앙, 흰죽지, 청둥오리 등 각종 철새들의 낙원이다. 그만큼 생태계가 살아있다는 뜻이다.
‘살곶이 공원(公園)’ 앞을 지난다. [청계천 복원기념, 경남 창녕 ‘우포늪’, 화왕산(火旺山) 갈대숲] 비석도 있다.
오른쪽 위는 한양대다. 그 밑에 지하철 2호선 한양대 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