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2022 산업포럼]도경환 "에너지 전환은 시대의 전환 장기 안목 필요"

2022-06-15 10:59 | 이원우 차장 | wonwoops@mediapen.com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도경환 수소에너지네트워크 대표이사가 15일 "에너지 전환은 시대의 전환이며, 국민의 편익과 장기적 국가 발전의 안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에너지 패권 시대, 신 정부의 전략은'이라는 주제로 열린 미디어펜 2022 산업포럼에서 ‘탄소중립 시대의 에너지 전환 전략’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서 이같이 말했다.

도경환 수소에너지네트워크 대표이사가 15일 오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에너지 패권 시대, 신 정부의 전략은'이라는 주제로 열린 미디어펜 2022 산업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최근 에너지 시장의 세계적인 변화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가 폭등으로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도 대표는 이에 대해 “에너지 자원이 무기화 되고 있지 않나 생각이 든다”고 언급했다. 

오랜 기간 사용돼 온 화석 연료는 장기적으로 ‘대체돼야 할 물질’이라는 문제의식 속에서 재생에너지라는 개념이 탄력을 받았다. 그러나 탄소중립이라는 개념은 무역 의존도가 매우 높은 우리나라에게는 실질적인 타격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 에너지정책이 장기적인 시야 속에서 설계돼야 하는 이유다.

세계적인 탄소중립 정책에 적시에 대응하지 않을 경우 무역에 영향을 받는 것은 물론 선진국과의 격차가 벌어지는 무역장벽의 역할까지 할 수 있다. 설상가상으로 이전 정권은 원자력 폐기 정책을 펼치면서 관련 산업과 인력에 궤멸적인 타격을 입힌 상태다.

이에 대해 도 대표는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그리고 수소에너지를 결합하는 새 ‘에너지 믹스’를 확보해야 대한민국 에너지 정책의 미래가 있다”고 역설했다.

이미 세계는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전 세계적인 에너지 정책 전환의 방향을 보면 재생에너지 전환의 강도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 결과 화석연료에 비해 재생에너지가 원래 3-4배 비쌌지만 최근엔 단가가 화석연료 수준까지 낮아지는 기술발전이 이룩된 상태다.

한국 역시 관련 이슈에 대한 고민을 지속하고 있다. 과거엔 에너지 공급만 안정적으로 받으면 된다고 생각했지만, 최근엔 에너지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에 대한 효율 문제가 대두되는 등 관련 논의의 깊이와 폭이 점점 확대되는 추세다.

단, 한국의 경우 산업구조 자체가 에너지를 많이 쓰는 구조이기 때문에 불리한 측면이 있다고 도 대표는 언급했다. 1970년대 중화학 우선정책을 펼치면서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했지만 해당 산업들이 사용하는 화석연료를 전부 수입해야 하는 것이 우리 산업의 특징이자 취약점이라는 것이다.

도 대표는 “향후 미래 산업으로 손꼽히는 전기차나 배터리 산업, 수소산업 등에 있어서는 아직 전 세계적인 선두주자가 없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시작단계에서 다소나마 앞서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도 대표는 “국내 산업에서 재생에너지의 확산 속도는 빠른 편이지만 주요국 대비로는 미흡한 수준”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관건은 장기적인 시야를 가지고 일관된 방향성을 유지하는 일이다. 도 대표는 “에너지 전환이라는 것은 하루아침에 바뀔 수 없는 것”이라면서 “전 정권의 원전 폐기 정책으로 원자력 관련 산업과 인력이 입은 타격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라고 비판했다.

이어서 도 대표는 자신이 종사하고 있는 수소산업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현재 우리나라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수소는 ‘그레이수소’로 추출 단계에서 탄소가 배출되는 방식이다.

도 대표는 앞으로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을 ‘그린수소’로 강조하면서 “물을 전기분해 해서 추출하는 수소는 탄소 발생 없이 만들어지지만, 이걸 어떻게 생산할지가 핵심”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는 “원자력의 초고온 열을 활용하는 퍼플수소와 그린수소를 함께 활용하면 탄소문제가 해결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도 대표는 “새로운 에너지 조합을 고민하면 국가 에너지 자립을 달성할 수 있다”면서 “수소 생산의 대용량화‧고효율화‧저비용화‧수명향상‧공급망 다각화 등이 향후 과제이며 분산‧참여형 에너지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말로 주제 발표를 마무리 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