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최근 이산화탄소(CO2)와 수소(H2) 기체를 합성해 포름산염으로 전환하는 온실가스 저감 기술(CCUS, 탄소포집 및 활용·저장)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포름산염을 섭취해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하는 미생물 배양에 성공했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이 국내 자생환경에서 포름산염 활용 미생물 확보해 배양에 성공했다./사진=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포름산염을 먹이로 삼아 고부가가치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생산하는 미생물 2종을 최근 분리 배양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분리 배양한 미생물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 2종이며, 개미산이라고 불리는 포름산염(폼산염)은 수소, 탄소, 산소로 이뤄진 산성 액체(카복실산, CH2O2)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일부 미생물이 CCUS로 발생한 포름산염을 섭취해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올해 초부터 고려대학교 및 원광대학교 연구진과 연구를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들 2종의 미생물을 국내 하천 및 저수지 등에서 찾아냈으며, 기존에 알려진 메탄올자화균 메틸로러브럼(Methylorubrum)보다 5배 이상의 포름산염을 섭취해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들 균이 생산하는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PHB)로 석유로 만든 일반 플라스틱과 성질이 비슷하지만 자연상태에서 쉽게 분해되는 장점을 갖추고 있으며 화장품 용기나 재활용 플라스틱, 수술용 봉합사 등의 제작에 쓰이고 있다.
앞으로 연구진은 이들 미생물의 유전체를 분석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최적의 포름산염 활용 기술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병희 유용자원분석과장은 “온실가스 저감을 통한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포름산염 활용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생산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