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내 자원회수시설/사진=GE가스파워 제공
제도 시행 첫 해인 2020년 매년, 할당량 초과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2026년부터 생활 폐기물은 매립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처리해야 한다. 수도권 매립지 추가 반입이 금지되고, 대체 매립지도 아직 확보하지 못했다.
지난해 1월과 5월 두 차례 수도권 대체 매립지 입지 후보지 공모를 실시했지만, 단 한 곳도 지원하지 않았다.
처음부터 쓰레기를 만들지 않거나, 전량 재활용 혹은 소각 처리해야만 한다는 뜻이다.
경기도는 23개 시·군에 26개 소각시설을 설치해 하루 5114톤, 연간 130만톤의 폐기물을 소각하고 있으며, 나머지 시·군은 자체 시설을 이용하거나 인근 지자체와 협약을 맺어 처리하고 있다.
발전시설을 갖춘 국내 공공 소각장의 경우, 에너지 이용보다 쓰레기 처리 목적이 더 큰 시설이므로, 제대로 된 자원회수 시설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폐플라스틱은 가공시설을 통해 발전시설의 보조 연료로 활용할 수 있고, 하수 슬러지나 음식물 폐수 등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공정 중에 바이오시설을 설치하면,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수원 출신 더불어민주당 이병숙 도의원은 12일 도의회 본회의 질의에서 "대체 매립지 확보에 난황을 겪고 있기 때문에, 수도권 매립지 반입 금지에 대비해 더 큰 용량의 자원회수시설 신축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이 의원은 "폐기물을 소각하거나 재활용하기 위한 처리시설을 확대하지 않고는, '폐기물 대란' 발생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경기도 차원의 구체적 대책 수립을 강력히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