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우현 기자]바른사회시민희의가 교육개혁은 대입수능제도 개혁에서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른사회는 6일 논평을 통해 "교육개혁은 역대 어느 정부나 추진과제로 내세운 우리나라 주요 정책과제 중 하나"라며 이 같이 밝혔다. 수능이 당초 시험 목적인 통합적인 사고력을 측정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는 이유에서다.
지난해 11월 17일 수험생들이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자고등학교 대학수학능력시험장으로 입실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당초 대학 입학 시험에 수학 능력 시험이 도입된 것은 이전에 실시된 학력고사가 대학에서 요구하는 고차원적인 사고보다는 단순 암기에 치중한다는 비판 때문이었다. 이에 1994학년도 5차교육과정 시행과 함께 수능 제도가 시행됐다.
이후 6차교육과정(1999-2004학년도), 7차교육과정(2005-2011학년도), 2007개정교육과정(2012-2016학년도), 2009개정교육과정(2017-2020학년도), 2015개정교육과정(2021-현재)을 거치는 동안 조금씩 변화하면서 30년 동안 수능 시험이 지속되고 있다.
바른사회는 "(수능이) 기존의 학력고사처럼 고등학교 과정의 과목별로 문제가 출제되고, 학생들이 수능 유형을 반복 학습하고 암기해야만 더 좋은 성적을 받는다는 것은 이제 부인하기 어렵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수능 초기 언어영역, 수리영역, 외국어영역으로 구분했던 것도 국어, 수학, 영어로 다시 복귀했고, 학교 현장에서 수능 문제 유형을 반복학습하는 현실이 수능의 도입 명분이 없어졌음을 증명한다"고 부연했다.
대학에서도 더 이상 수학능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수능을 폐지하자는 주장이 늘고 있다.
바른사회에 따르면 박형주 전 아주대 총장은 "현 수능 출제방식으로는 생각하는 힘을 키울 수 없다"고 비판한 바 있다.
또 박도순 고려대 명예교수는 "고3때 배운 단편적 지식은 3년 후 75%가 잊어버리는데 잊어버릴 지식으로 시험을 보는 것은 넌센스이고, 이것이 수능이 사라져야할 중요한 이유"라고 꼬집었다.
김도연 전 포스텍 총장도 "수능은 창의력이 없는 최악의 평가이며 객관식 수능평가는 접어야 한다"고 언급하며 수능 제도의 헛점을 지적했다.
바른사회는 "사정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현 정부는 수능 개혁을 미루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교육개혁의 근간인 수능을 개혁하지 않고서 어떤 교육개혁을 한다는 것인지 의문"이라며 "대학입시 제도를 조속히 공론화해서 수능의 폐해를 극복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른사회는 "고교에서 EBS수능교재로 반복 학습하는 비정상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될 일"이라며 "공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라도 수능은 개혁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