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우현 기자]대다수의 기업들이 상반기 투자 수준을 하반기에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둔화, 고금리, 고환율 등으로 미래를 예단할 수 없어 투자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특히 국내 주요 굴지 사업인 반도체, 철강 및 석유 화학 업계는 하반기에도 어려운 시간을 보낼 가능성이 커 경제성장률 역시 둔화하고 있다. 재계에서는 규제 혁파, 노동 개혁, 세제 개편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대다수의 기업들이 상반기 투자 수준을 하반기에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둔화, 고금리, 고환율 등으로 미래를 예단할 수 없어 투자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한국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하반기에도 수출 감소율이 두 자리 수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철강 및 석유화학 업종 역시 본격적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상반기 반도체와 정보통신기기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30% 넘게 감소하는 등 타격을 입었다.
하반기에는 글로벌 데이터 센터 기업의 설비 교체, AI 수요 확대 등으로 상반기보다는 여건이 양호하겠지만, PC와 스마트폰 등 반도체 수요 산업이 부진한 영향으로 상승세 전환을 위한 동력이 부족할 가능성이 크다.
철강 부문 역시 상반기 글로벌 철강시장은 중국의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미국, EU 등 선진국 경기가 둔화되면서 약세를 보였다. 여기에 중국과 선진국의 본격적인 수요 회복이 지연되면서 수출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2년 간 삼중고를 겪었던 석유화학 업종은 올해 에너지 가격 안정화와 중국의 완만한 경기 부양 의지와 함께 업황 회복이 가시권에 접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 중심의 증설 지속 등 공급 불확실성이 존재해 중장기 전망은 험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이차전지와 자동차, 조선, 방산 분야는 높은 수출 점유율과 글로벌 수요를 바탕으로 호조세가 전망된다.
다만 대다수의 기업들이 경기 둔화와 고금리, 고환율의 영향으로 하반기에 투자를 늘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 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와 비슷한 규모로 투자하겠다는 응답이 60.7%로 가장 많았고, 투자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이 24.3%, 확대할 것이라는 응답이 15.0%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하반기 투자활동을 저해하는 가장 큰 리스크로 글로벌 경기둔화(28.4%)를 꼽았다. 뒤이어 글로벌 긴축에 따른 금리 상승세 지속(22.1%)과 고환율 지속(14.3%)을 주요 투자위험으로 지목했다.
글로벌 수요 둔화와 통화 긴축 등 경영 불확실성이 여전해 상반기 대비 투자 수준을 유지하거나 축소하겠다는 기업이 많은 것이다.
실제로 올해 세계경제는 2%대의 저성장이 예상된다. 또 글로벌 긴축 추세와 여전히 불안한 국내 근원물가로 하반기 중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다. 여기에다 한‧미간 금리 격차(1.75%p) 등으로 당분간 고환율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미래를 예단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이에 재계는 금리, 물가 등 주요 가격변수가 안정되는 내년 쯤 기업들이 투자를 활성화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기업들은 국내 투자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 △R&D 공제·법인세 감세 등 세제지원 강화(26.2%)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이 △투자 관련 기업규제 완화(19.3%)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16.2%) 등을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은 글로벌 경제위축, 수출 감소, 판매 부진에 따른 재고누적 등의 영향으로 투자에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는 기업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위해 R&D 지원을 확대하고, 규제 개선‧노동시장 개혁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상근 전경련 전무 역시 “수출을 둘러싼 대외여건도 당분간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해법은 불합리한 규제 혁파, 낙후된 노동시장 및 세제 개선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