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오는 24일 열리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미국과 중국 경제와 가계부채 등 대내외 변수를 고려해 기준금리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과 미국과의 당장의 기준금리 격차보다는 미국 금리의 방향성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향후 물가 추이와 관련해선 내년 하반기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국회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화면 캡쳐
이 총재는 22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오는 24일 결정되는 통화정책방향과 관련해 "중국 경제 회복 지연과 중국 단체 관광객 허용 영향 및 가계부채 등 다양한 면을 고려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한은은 2021년 8월부터 약 1년 6개월 동안 기준금리를 3.0%포인트 인상하다 지난 2월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한 이후 4월, 5월, 7월 동결했다. 이번에도 금리가 동결되면 연속 5회 연 3.50%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이 총재는 "구체적인 방향을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조만간 있을 미국 잭슨홀 미팅에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과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결정에 대한 예상, 중국 경제가 생각보다 회복이 느린 것, 중국의 단체관광객 허용의 영향, 가계부채 등 다양한 요인을 금통위원과 상의해 논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금융권 일각에선 최근 다시 급증하는 가계부채와 한미간 금리격차를 고려할 때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하지만 현재로서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금융권은 관측한다. 중국발 경기 침체에 따른 글로벌 경기 위축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하반기 국내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여기다 최근 물가 오름세가 둔화된 점도 기준금리 동결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 총재는 한미 금리차 확대에 따른 한은의 기준금리 방향과 관련해선 "당장의 격차보다는 9월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정할 앞으로의 금리 방향성과 그에 대한 국제 금융시장의 반응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준이 지난달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함에 따라 한국과 미국(5.25~5.50%)의 금리차는 역대 최대 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기축 통화국이 아닌 한국은 금리 역전 폭이 확대될수록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금리차가 확대될수록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유출과 원화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는 향후 물가 추이와 관련해선 내년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중반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총재는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 근원 물가 상승률이 3.3%였다"며 "8∼9월 다시 3%대가 될 가능성이 있고, 그 뒤부터 천천히 떨어져 내년 하반기쯤 2% 중반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물가 상승에는) 해외 요인이 많기 때문에 단시간에 잡을 수는 없지만, 높아진 물가를 빠른 시간 내 3% 밑으로 내린 나라는 선진국 중 우리가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4.8%, 3월 4.2%, 4월 3.7%, 5월 3.3%, 6월 2.7%로, 7월 2.3% 점차 둔화했다. 근원물가(석유류·가공식품을 제외) 상승률은 1월 4.1%에서 2월 4.0%로 내려온 이후 4월까지 4.0%를 유지하다 5월 3.9%, 6월 3.5%, 7월 3.3%로 떨어졌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