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새해 들어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악화하면서 다시 적자로 돌아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자동차보험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차량 이동량이 감소한 2021년 이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면서 흑자 기조를 지속해왔다. 그러나 올해 자동차보험료 추가 인하, 정비수가 인상 등의 영향으로 손해율이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1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 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대형 5개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2.1%(5개사 단순 평균 기준)로 전년 동기(79.5%) 대비 2.5%포인트 올랐다.
삼성화재(81.3%→83.5%), 현대해상(79.9%→84.5%), DB손해보험(78.9%→80.0%), KB손해보험(78.9%→82.1%), 메리츠화재(78.4%→80.5%) 손해율이 전부 올랐다. 이들 대형 5개사의 자동차보험 시장 점유율은 90% 수준이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보험계약자로부터 받은 보험료 중 사고 등의 발생으로 피해자에게 지급된 보험금 비율이다. 손해율이 80%라는 것은 고객으로부터 보험료로 100원을 받아 보험금으로 80원을 지급한 것을 의미한다.
손보사들은 통상 77~80%를 자동차보험 손해율의 적정 수준으로 본다. 자동차보험을 유지하기 위한 사업비율이 대략 20% 수준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자동차보험으로 흑자를 내려면 손해율에 사업비율을 더한 합산비율이 100%를 넘지 말아야 한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오른 것은 올해 교통량이 지난해보다 증가하면서 사고 건수가 늘었고 지난해 보험료 인하분이 반영된 영향이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고속도로의 자동차 통행량은 2억5222만7000대로 지난해 1월(2억 596만 9000대)보다 22.4% 가량 늘었다.
또 대형 손보사들은 지난해 2월 말부터 2~2.1% 보험료를 인하했다. 인하된 보험료는 올 1월까지 적용된다.
여기에 지난달부터 자동차보험료를 2.5~2.8% 수준으로 추가 인하하면서 향후 손해율이 더욱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자동차보험 사업실적’에 따르면 손보사 12곳의 자동차보험 매출액(원수보험료 기준)은 10조6385억원으로, 보험료 1% 인하에 대한 단순 환산 시 1063억원 가량의 자동차보험 수입 감소가 예상된다고 분석한 바 있다.
물가 상승으로 자동차보험 정비수가가 오르고 있는 점도 악재다. 정비수가는 손보사가 사고 차량을 수리한 정비업체에 지급하는 공임비다. 정비수가가 높을수록 보험사가 지급하는 돈이 많아져 이익이 줄어든다.
국토부와 손보업계, 공제조합, 자동차정비조합은 지난해 12월 보험정비협의회를 통해 올해 자동차 정비수가를 3.5% 인상하기로 합의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특수로 단기간 흑자를 내긴 했으나 그간 누적된 적자를 고려하면 보험료 인하가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며 “자동차보험료는 내렸는데 정비수가는 오르면서 향후 손해율 악화로 3년 만에 적자가 우려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