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2금융권 건전성 '비상등'...건설·부동산업 연체율 집계 이래 최고

2024-07-15 13:59 | 이보라 기자 | dlghfk0000@daum.net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저축은행을 비롯한 2금융권의 건설·부동산 업종 관련 건전성 악화 지표가 집계 이래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으면서 여전히 건설·부동산업발 금융 위기의 불씨가 살아 있는 만큼 적극적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15일 한국은행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부남 의원(더불어민주당)에 제출한 '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현재 전체 금융권(은행+비은행)의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각 116조2000억원(55조5000억+60조7000억원), 500조6000억원(309조1000억+191조4000억원)에 이른다.

서울의 아파트 단지 모습./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두 업종의 잔액 모두 한은이 해당 업종 대출 통계를 금융업권별로 나눠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많을 뿐 아니라 사실상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해 1분기(건설업 112조1000억원·부동산업 478조2000억원)보다 각 3.66%, 4.68% 늘었고 2022년 1분기(101조4000억원·437조2000억원)와 비교하면 2년 새 14.60%, 14.50% 증가했다.

대출 규모뿐 아니라 부실대출 지표도 통계 작성 이래 최고 수준이다.

특히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올해 1분기 기준 각 7.42%, 5.86%로 역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해 1분기(3.38%·3.15%) 이후 1년간 각 2.2배, 1.9배로, 2022년 1분기(1.79%·1.31%) 이후 2년간 각 4.2배, 4.5배로 뛰었다.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의 경우 저축은행에서 건설업이 19.75%, 부동산업은 14.26%에 이르렀다.

역시 최고 기록일 뿐 아니라 건설업의 경우 1년 전(4.41%)이나 2년 전(2.22%)의 무려 4.5배, 8.9배 수준이다. 저축은행 사태 직후 2013년 건설업종의 이 비율이 30%를 웃돌았는데 당시 수준에 빠르게 근접하는 셈이다.

부동산업도 최근 1년, 2년 사이 각 3.3배(4.36%→14.26%), 7.8배(1.82%→14.26%)로 치솟았다.

한은은 최근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부동산PF 익스포저는 현재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이 직면한 주요 위험 중 하나로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부동산 시장 부진 지속과 건설 원가 상승 등으로 부실 위험은 다소 증대된 상황"이라며 "충당금 적립 확대, 자본 확충 등으로 금융기관 손실 흡수능력이 커진 점을 고려하면 PF 사업장 잠재 위험이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작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동시에 "일부 비은행업권의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는 만큼 부실자산에 대한 경·공매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라고도 강조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