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상일 기자] 최근 10년(2004∼2013)간 우리나라의 '파업성향'(strike rate)이 연평균 47일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업성향이란 파업으로 일하지 않은 날의 빈도와 강도를 의미한다.
이는 파업, 직장폐쇄 같은 노동쟁의 행위로 인해 1년동안 발생한 근로손실일수를 임금근로자 1000명으로 나눈 값이다.
파업이 얼마나 잦았는지와 오래갔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노동쟁의 수준을 국제 비교할 때 많이 쓰인다.
5일 한국노동연구원이 펴낸 '노동리뷰' 11월호에 실린 '주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파업성향 국제비교'에 따르면 한국의 파업성향은 조사 대상 13개국 중 4위였다.
보고서는 OECD 13개국의 10년 평균 파업성향을 비교했다. 우리보다 파업성향이 높은 나라는 덴마크(126.4일), 스페인(89.4일), 핀란드(70.1일) 등 유럽 국가였다.
여타 국가는 이탈리아(46.4일), 영국(26.4일), 호주(20.2일), 뉴질랜드(12.6일), 네덜란드(8.8일), 미국(8.4일), 멕시코(6.6일), 스웨덴(5.3일) 등으로 파악됐다. 일본(0.2일)은 가장 낮았다.
노동쟁의 행위로 인해 발생한 우리나라의 임금근로자 1000명당 연간 근로손실일수는 1995년(31일)부터 2000년(144일)까지 가파르게 증가했다.
그러나 2001년(79일)부터 2013년(35일)까지는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만든 정재우 연구원은 "이번 자료는 현황을 간단히 보여주는 용도여서 파업성향이 왜 감소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분석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노동쟁의 통계는 국가마다 크게 달라 단순 비교가 어렵다고 정 연구원은 설명했다. 파업의 정의나 분규 지속일수·시간 기준, 참가자 수 최저기준, 정치파업의 포함 여부 등 통계 산정 기준이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