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상일기자]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15일 이틀째 진행한 진상 규명 청문회에서도 참사 초기 해양경찰 등 정부 대응이 적절했는지에 대한 질의가 집중됐다.

이날도 전체 특조위원 17명 가운데 여당 추천 위원 5명 전원이 불참했다.

특조위가 이날 오전 9시30분부터 서울 중구 YWCA 대강당에서 진행한 청문회에는 참사 당시 구조를 지휘한 김석균 해양경찰청장, 김수현 서해지방해경청장, 김문홍 목포해경서장 등 해경 관계자와 안전행정부·해양수산부 간부, 박준영 전남도지사 등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특조위원들은 해경의 참사 초기 대응과 청와대 보고·지시 상황, 해양사고 관련 매뉴얼에 따라 현장 구조가 이뤄졌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질의했다.

이날 일부 증인들이 답변하며 "모르겠다", "기억이 나지 않는다", "당시 최선을 다했다"는 등의 답을 할 땐, 유가족 등이 앉은 방청석에서 야유와 고성이 터져 나오기도 했다.

김진 특조위원은 사고 초기 해경 상황실과 경찰청 상황실 간 녹취록을 제시하며 "경찰청에서 '도와드릴 게 없느냐'고 묻는데도 해경에서는 '우리 해경이 해군하고 다 하고 있다'고 답하고 있다"며 사고 초기 대응이 부족했음을 지적했다.

김석균 전 해경청장은 "어떤 직원이 통화했는지 모르지만, 상황을 정확히 모르고 답변한 것 같다"며 "해경 본청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김서중 특조위원은 당시 해경이 청와대의 보고 압박에 구조에 전력을 다하지 못한 부분이 있지 않은지를 따졌다.

김서중 위원은 "청와대가 세월호가 침몰하던 오전 9시20분부터 10시40분까지 총 21차례 해경 상황실과 통화하며 현장 영상을 6번에 걸쳐 요구한 걸로 조사됐다"며 "과도한 자료·상황 파악 요구로 해경이 구조구난 작업을 하는데 시간 뺏긴 게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김 전 청장은 "전혀 동의할 수 없다"며 "통상적인 일반 조난 사고에서도 상황실에서 지휘부가 함께 상황관리를 하며 대응한다"고 해명했다.

이호중 특조위원도 참사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김경일 123정장이 휴대전화로 수차례 데이터 통신을 한 내역을 제시하며 "구조를 위한 급박한 상황에서 영상을 찍어 보내기 위해 데이터 통신을 한 게 아니냐"고 추궁했다.

김 정장은 이에 "그런 사실이 없다. 기억이 안 난다"며 부인했다.

사고 직후 현장 구조 세력의 규모가 과장된 부분에 대한 질문도 있었다.

최일숙 특조위원은 "사고 당일 언론 브리핑이 6번 있었는데, 구조에 나선 잠수사, 헬기, 선박 등의 숫자가 확인된 것보다 많이 부풀진 거짓 정보였다"며 그 이유를 따져 물었다.

이에 당시 언론 브리핑을 맡았던 이경옥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은 "늘릴 이유는 전혀 없다"면서도 "촌음을 다투는 상황이어서 구체적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해경이나 해수부에서 보고 올라온 것을 보고 발표했다"고 말했다.

이날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요구를 받은 김윤상 언딘 사장은 법원 출석을 이유로, 신정택 전 한국해양구조협회장은 중국 출장 등을 이유로 청문회에 나오지 않았다. 특조위는 세월호특별법에 따라 이들에 대한 고발 여부를 논의할 계획이다.

특조위는 청문회 마지막 날인 16일도 참사현장에서의 피해자 지원조치의 문제점을 주제로 이주영 전 해양수산부 장관과 해경 간부 등을 불러 청문회를 이어간다.

특조위는 이 전 장관이 이날 오후 서면으로 출석 의사를 전해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