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상일 기자] 북한 지진 소식이 미국,중국,유럽 등 외신을 통해 먼저 알려지자 기상청이 해명에 나섰다.
6일 고윤화 기상청장은 브리핑을 통해 "국가안보 매뉴얼에 따른 조치"라며 "인공지진은 국가안보와 관련된 사항이라 절차상 일반 국민에게 직접 발표하지 않고 나중에 정리해서 발표하도록 돼 있다"고 설명했다.
|
|
|
▲북한 지진 소식이 미국,중국,유럽 등 외신을 통해 먼저 알려지자 기상청이 해명에 나섰다. /TV 조선 방송화면 |
기상청에 따르면 북한의 지진은 발생과 동시에 전국 관측소에서 대부분 감지됐다. 이게 인공지진인지, 어떤 요인에 의한 것인지 파형, 진폭 등을 분석하는 데 약 50초 정도가 걸렸다. 이후 분석 내용을 국가안보 매뉴얼에 따라 청와대에 보고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기상청은 국내 자연 지진의 경우 즉각 지진특보를 발령한다. 이는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에 따른 조치다.
기상청은 2009년에 '국가 지진대응체계 고도화 계획'을 세워 조기경보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난해부터 규모 5.0 이상인 경우 관측 50초 이내에 '지진 조기경보'를 발령한다. 문자나 팩스, 홈페이지 게시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한다.
규모 3.5∼5.0 미만은 '지진 속보'로 알린다. 소요 시간은 관측 120초 이내이다. 규모 3.5 미만은 경보·속보 안내 대상이 아니다.
기상청은 최초 지진이 발생한 후 4개 이상의 관측소에서 지진의 P파가 관측되면 컴퓨터를 통해 자동으로 분석이 시작된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지진 발생 시각과 위치, 규모에 관한 첫 정보가 산출된다. 다른 관측소에서도 P파가 추가 관측되면 산출 값을 재계산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정보를 수정한다.
이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유관기관과 협의를 거쳐 발생 지점과 규모 등 최종 정보를 확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