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중국이 위안화를 절하하면서 자본이 유출되는 딜레마에 직면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은 위안화가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바스켓 통화에 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급격한 위안화 절하조치를 발표했다. 표면상으로는 시장에서 환율을 결정하는데 더 큰 역할을 맡도록 한다는 취지였다.
중국 인민은행은 그러나 환율 정책을 변경한지 얼마 되지 않아 외환보유고의 6분의 1을 헐어가면서 위안화를 방어하는데 급급해야 하는 사정에 몰렸다.
14일 파이낸셜 타임스는 사설을 통해 이는 중국에서 벌어지는 자본 이탈의 규모를 반영해주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저금리와 향후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 반부패 캠페인 탓에 중국인들의 자본 유출이 도도히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신용평가사인 피치의 추산에 따르면 2014년 중반부터 지난해 말까지 자본 유출 총액은 1조 달러를 상회한다.
만일 인민은행의 대규모 개입이 없었으면 위안화 가치는 더욱 큰 폭으로 절하됐을 것이다. 인민은행은 외환보유고를 사용해 위안화를 방어할 수 있지만 3조3000억 달러의 외환을 보유한 중국조차도 무한정 이런 식으로 외환보유고를 소진할 수 없는 처지다.
인민은행은 이번주에 들어 홍콩 역외 시장을 통해 위안화의 절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한 개입을 지속하고 있다. 그 한편에서는 관계당국이 중국인들의 자본 유출 루트를 단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투자자들에게는 매일 발표되는 인민은행의 환율 기준치가 당국의 의지를 알리는 신호가 아니라, 시장 동향을 반영한 것으로 받아들일 것을 촉구하고 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시장 개입과 자본 유출 단속은 난처한 상황에 대해서는 합당한 단기적 대응책이라고 논평하면서 지난해 12월의 무역통계가 13일 발표되면서 위안화에 대한 당장의 압력은 완화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신문은 그러나 중국이 일관성있는 정책을 확대하지 않고 있으며 정책들을 조율할 조직을 신설한다고 해도 근본적 문제들을 해결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 정부가 위안화에 대한 국제적 신뢰를 회복하기를 바란다면 중국인들이 돈을 국내에 남겨둘 수 있도록 자신감을 줄 경제정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