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국민의당 '부실기업 구조조정'…노동계 "인력 구조조정은 최소화해야"
[미디어펜=김연주 기자]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부실기업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나서자 내부적인 충격을 입은 노동계는 오히려 경영진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노동계는 인력 구조조정의 최소화 방안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 대표는 20일 비대위 회의에서 "본질적이고 적극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발언했고,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는 기자들에게 "구조조정을 넘어 구조개혁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20대 총선 이전부터 구조조정 반대라는 입장을 야당과 공유하는 것으로 생각했던 노동계로서는 상당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노동계는 직접적인 비판을 삼가는 모습이지만 “기업 부실을 불러일으켰다”며 “경영진에 대한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동계는 이와 관련 대규모 구조조정이 임박한 조선업계에 이러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승철 민주노총 대변인은 "수익성을 따지지 않은 저가 수주와 투자자들을 우롱한 분식회계 등으로 지난해 수조원의 적자를 낸 조선업계 경영자들은 거액의 보수를 챙기면서, 노동자들에게는 인력 구조조정만 강요하고 있다"며 "구조조정에 앞서 이러한 행태를 근절할 사법적, 행정적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해운, 조선, 철강, 건설 등 부실이 심각한 일부 업종의 경우 적극적인 구조조정이 단행되지 않을 경우 기업의 생존 자체가 어려운 지경이다.

하지만 노동계는 이러한 과정에서 구조조정 양상이 대규모 정리해고 등 대대적인 인력 구조조정의 양상을 띠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김준영 한국노총 대변인은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은 노동자 개인의 삶을 파괴하는 것은 물론 지역경제 황폐화와 내수 침체로 국가 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가한다"며 "인력 구조조정을 최소화하고 고용 안정을 확보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부실기업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나서자 내부적인 충격을 입은 노동계는 오히려 경영진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자료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김연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