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제훈/영화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 공식 포스터 |
[미디어펜=정재영 기자]'홍길동'은 의적이다. 온갖 신기한 도술을 부릴 줄 알고 도적떼의 우두머리가 되자 이름을 '활빈당'으로 고치고 의적 노릇을 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캐릭터 중 하나인 홍길동은 그래서 의적이다.
하지만 감독 조성희의 눈에는 홍길동의 어두운 면이 비친 모양이다. 영화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감독 조성희, 이하 탐정 홍길동)'의 홍길동(이제훈 분)은 의적이 아닌 탐정이다. 그는 극 초반부터 거침없이 범죄자의 손가락을 자르며 우리가 익히 알고있던 홍길동의 모습을 철저히 파괴했다.
조성희는 이렇게 파괴된 홍길동의 모습에 부모 없는 공허함을 얹었다. 이로서 원작의 백성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리더 홍길동은 오로지 어미의 복수만을 위해 달려가는 냉정한 인물로 탈바꿈 한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기존에 자신들이 알고 있던 상식이 파괴되고 기존의 인물과 변화된 인물 사이의 간극이 만들어내는 이질감을 통해 더욱 풍부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마치 착한 남자가 선행을 하는 것 보다 나쁜 남자가 선행을 하는 것이 신선하게 다가오는 것 처럼.
이런 조성희의 의도는 그의 대표적인 상업영화 '늑대소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늑대소년' 속 철수(송중기 분)는 세상 그 무엇보다 단순하고 순수하지만 자신에게 손을 내밀었던 순이(박보영 분)가 위험에 처하자 늑대인간으로 변신, 공포스러운 모습을 드러낸다. 잘생긴 미남 이미지의 철수와 냉혹한 짐승의 모습인 철수는 영화에서 철저히 대비되고 이를 통해 관객들은 혼란 속에서도 다양한 감정을 마음 속에서 끄집어낼 수 있다.
조성희는 대체로 관객이 인물에게서 느낄 수 있는 괴리감을 통해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런 즐거움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해당 배역을 맡은 인물이 다양한 모습을 어색함 없이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면에서 이제훈은 악랄한 '파수꾼'에서의 기태와 정의를 위하는 '시그널' 속 박해영의 모습을 함께 가지고 있어 유리하다. 특정된 모습이 없기 때문이다.
조성희가 만드는 익숙함과 이질감의 차이는 일명 '조성희 월드'를 만들어 냈다. 조성희는 '조성희 월드'를 통해 관객들의 마음을 다시 한번 뒤흔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미디어펜=정재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