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1차 학술심포지엄 "국민의 뜻과 정반대 행보 보인 혁명가"
   
▲ 이날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학술심포지엄에서 김용삼 미래한국 편집장은 "박정희는 정치가가 아니라 혁명가였다"며 "빈농(貧農)의 아들로 태어난 박정희는 배고픔이 무엇인지를 처절하게 체험한 인물"이라고 소개했다./사진=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미디어펜=김규태 기자]지난 1960~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이 통치했던 권위주의 정부의 개발연대가 대한민국 민주주의 성장의 토대를 만든 과정이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주최로 열린 제1차 학술심포지엄 ‘위기의 대한민국, 박정희에게 길을 묻다’에서였다.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된 박정희재단 학술심포지엄의 제2세션 <집권 18년의 박정희: 혁명가인가 정치가인가>에서 발제자로 나선 김용삼 미래한국 편집장은 “박정희는 민주주의를 잘 하기 위해 한강을 건넌 것이 아니었으나 그가 쿠데타를 통해 한국을 산업화하는 데 성공하여 역설적으로 민주화가 가능하게 되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편집장은 “박정희는 정치가가 아니라 혁명가였다”며 “빈농(貧農)의 아들로 태어난 박정희는 배고픔이 무엇인지를 처절하게 체험한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김 편집장은 “당시 한국의 배부른 양반 지배층과 지식인, 학생들이 ‘민주주의는 신(神)’이라고 떠받들 때 박정희가 모시는 신은 ‘밥’이었다”고 언급했다.

전 국민이 결사반대했던 일본과의 국교 수교, 모든 언론과 지식인들이 격렬하게 반대했던 경부고속도로와 포항제철, 중화학공업을 온갖 욕을 얻어먹어가며 박정희 대통령이 추진했던 것도 민의, 민심, 국민의 뜻과는 정반대되는 행보였다는 설명이다.

김 편집장은 “국제 원조기구와 선진국 전문가들의 충고대로 움직이지 않았던 박정희”라며 박 대통령이 중화학공업 건설 과정에서 오원철에게 “미국 경제학자라는 자들이 후진국 실정도 모르면서 이러쿵저러쿵하니 우리는 우리 식대로 해 나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던 일화를 밝혔다.

이와 관련 김 편집장은 “박 대통령은 중화학공업 육성을 통한 방위산업과 전 산업의 수출산업화 완성으로 국가안보를 지켜내고 명실상부한 선발 중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10월 유신이라는 제3의 쿠데타까지 감행했다”며 “역사적 고비마다 세 차례의 다단계 쿠데타를 통해 한국을 후발 산업국가로 변모시켰다”고 강조했다.

혁명적 발상이 아니면 절대로 불가능했던 국가 근대화를 그는 정치가적인 ‘통치’가 아니라, 혁명가적인 ‘건설’로 쟁취했다는 지적이다.

김 편집장은 “각국이 국민소득 4000달러에서 7000달러 사이에 정치적 고도화와 민주주의 혁명이 있었다”고 밝힌 미국 정치학자 로버트 달의 분석을 소개하면서 “참다운 민주주의가 제대로 실행하려면 민주주의를 가능케 하는 경제적·산업적 기반과 민주주의를 운영할 수 있는 중상층 형성, 국민의 민주시민 의식이 필수적이란 뜻”이라고 설명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