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치·한' 등 취업 잘되는 학과로…선발시스템 되돌아봐야"
[미디어펜=이상일 기자]지독한 취업난에 서울대에 합격했는데도 입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매년 300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갈수록 힘겨워 지는 취업난으로 졸업후 취업이 수월한 분야로의 편중현상에 따른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 14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이동섭 의원이 서울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서울대 합격생 중 입학을 포기한 학생은 346명에 달했다./서울대학교 브로셔


14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이동섭 의원이 서울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서울대 합격생 중 입학을 포기한 학생은 346명에 달했다.

단과대 별로 보면 공대가 128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자연대(48명), 간호대(33명), 농생대(27명) 등이었다. 자연계열 학과에서 포기 학생이 많이 나온 것이다.

반면 인문계열 주요 단과대의 합격 포기자는 비교적 적었다. 인문대, 사회대, 경영대의 합격 포기 학생 수는 각각 8명, 5명 2명으로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이런 추세는 최근 5년간 이어져 왔다. 2012년 330명, 2013년 326명, 2014년 339명, 지난해 317명으로 매년 300명이 넘는 학생이 등록을 포기했다. 2012년 합격포기생 수가 122명이었던 공대는 2013년 135명, 2014년 136명, 지난해 136명 등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같은 기간 2012년 음대 1명을 제외하고는 음대, 미대, 의대에서는 합격포기생이 나오지 않았다. 입시 전문가들은 자연계열에서 입학 포기생이 속출하는 이유로 의대·치대·한의대로의 쏠림 현상을 들었다.

여기에 최근 심화하는 취업난 때문에 취업에 직결된 전공을 선택하는 학생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서울대 졸업장 대신 다른 학교의 취업 특성화 전공을 선택하는 자연계열 학생이 많다는 뜻이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이사는 "의대에 중복 합격한 많은 학생이 의대를 선택하는 데 더해 최근에는 취업에 유리한 학과를 선택하기 위해 성균관대 반도체공학과 등 취업을 보장하거나 특화된 전공을 선택하는 학생이 많이 늘었다"고 전했다.

임 대표는 "서울대 합격 포기가 이례적이었던 예전과 달리 최근 이런 현상은 서울대의 선발시스템도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며 "입시제도 변화 때문에 최상위권 학생 중 순수학문을 전공하고 싶은 학생을 잘 걸러 뽑지 못하는 것 아닌지를 되돌아봐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이상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