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상일 기자] 은퇴한 중고령자들의 소득 급감으로 경제적 여유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자식과의 관계가 가장 크게 나빠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중고령자 은퇴 전후 소득과 삶의 만족도' 보고서를 통해 2006년 이후 은퇴한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 중 가장 악화된 것은 ‘자녀와의 관계’라고 17일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2006년 취업 상태였다가 이후 은퇴하거나 계속 취업 상태를 유지한 223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담았다.

자녀와의 관계 점수는 2006년 취업자로 있던 당시에는 75.4였으나, 은퇴 후인 2014년에는 62.5까지 떨어져 '-12.9'의 하락 폭을 기록했다.

이어 '배우자와의 관계'는 74.3에서 65.8로 '-8.5' 하락했다. 

자신의 건강과 경제 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각각 '-6.5'(57.7→51.2), '-3.7'(54.6→50.9) 등 떨어졌다.

반면 2006년 이후 취업 상태를 유지한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는 이보다 높았다.

이들의 만족도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은퇴자(62.5)보다 훨씬 높은 71.3을 기록했다.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65.5였고 경제 상태, 배우자와의 관계 모두 은퇴자보다 높았다.

은퇴 후 이같은 삶의 질 악화가 나타나는 것은 소득이 급감하면서 심리 상태나 사회적 관계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보고서에 의하면 2006년 이후 은퇴한 사람들의 소득 평균은 2006년 연 1719만원에서 2008년 1329만원, 2010년 587만원으로 급감했다. 사회보장소득, 공적연금 등의 소득이 발생해도 여전히 은퇴 전 소득의 40%에도 못 미쳤다.

김은영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은퇴자들의 노후 삶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별도의 복지 프로그램 등 사회적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며 "소득 보전 외에 자녀와의 관계 등 사회·심리적 관계나 건강 회복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상일 기자] ▶다른기사보기